CJ프레시웨이, 첫 ESG 보고서 발간…"지속가능 경영 펼칠 것"

입력 2022-06-30 09: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업계 최초 전기화물차 도입 등 주요 활동 수록

▲CJ프레시웨이 2021 ESG 보고서 표지 (사진제공=CJ프레시웨이)
▲CJ프레시웨이 2021 ESG 보고서 표지 (사진제공=CJ프레시웨이)

CJ프레시웨이는 첫 번째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30일 밝혔다.

전날 공개된 보고서에는 지속가능경영 목표로 활동한 최근 3년간의 내용과 주요 성과가 담겼다. 보고서는 국제 지속가능경영 보고 기준인 글로벌 리포팅 이니셔티브(GRI)에 따라 작성됐으며, 독립 기관을 통해 제3자 검증을 받아 신뢰도를 높였다.

CJ프레시웨이는 3년간 꾸준히 온실가스 배출량, 에너지 소비량, 물 사용량을 줄이는 등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적극적인 행보를 이어왔다. 작년에는 식자재 유통 업계 최초로 전기화물차를 도입해 탄소 배출량 저감에 앞장섰다. 상품 유통 시 사용하는 아이스팩은 재사용 물량으로 전환하는 등 자원순환 활동에도 주력했다.

단체급식 사업과 제조 부문에서도 환경경영을 실천했다. 급식장에서 배출되는 종이 쌀 포대를 업사이클링 가방으로, 커피박(커피 찌꺼기)을 모아 친환경 화분으로 제작했다.

구내식당 이용객 등 최종 소비자와 함께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도 추진했다. 단체급식장에서는 환경 보호를 주제로 ‘그린 저니’ 캠페인을 전개해 잔반 줄이기 등 다양한 실천법을 제안했다.

보고서에는 사회 및 지배구조 측면에서의 다양한 노력도 소개됐다. CJ프레시웨이는 모든 임직원이 안전한 근무환경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2019년에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ISO45001)을 획득해 지속 유지하고 있다.

CJ프레시웨이는 향후에도 친환경 유통환경, 건강한 식문화, 함께 성장하는 사회 등 세 가지 전략 방향에 맞춰 다양한 활동을 전개할 계획이다.

CJ프레시웨이 정성필 대표이사는 인사말을 통해 “그간 지속가능 경영의 기반을 다지며 크고 작은 다양한 성과를 경험했다. 또 기업과 사회가 건강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터득할 수 있었다”라며 “더 나은 미래를 만드는 푸드 비즈니스 기업을 목표로 삼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긴밀하게 소통하며 모두가 공감하는 지속가능 경영을 펼쳐갈 것”이라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열애설·사생활 루머로 고통…실체 없는 '해외발 루머' 주의보 [이슈크래커]
  • 사내 메신저 열람…직장인들 생각은 [데이터클립]
  • 연준, 기준금리 7회 연속 동결…올해 금리 인하 횟수 3→1회로 줄여
  • 금융사 CEO도 힘싣는 '트래블카드'…과열 경쟁에 효과는 ‘미지수’
  • 권도형, '테라사태' 6조 원대 벌금 낸다…美 당국과 합의
  • ‘과외앱 20대 또래여성 살해’ 정유정, 대법 선고…1‧2심 무기징역
  • '나는 솔로' 20기 정숙의 뽀뽀 상대 드디어 공개…'뽀뽀남'은 영호
  • 청약통장 월납입 인정액 10만→25만 상향…41년 만에 개편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14:1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928,000
    • -0.21%
    • 이더리움
    • 4,930,000
    • -0.62%
    • 비트코인 캐시
    • 631,500
    • +1.04%
    • 리플
    • 687
    • +1.18%
    • 솔라나
    • 214,200
    • +0.56%
    • 에이다
    • 609
    • +1.5%
    • 이오스
    • 975
    • +0.93%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39
    • +0.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73,050
    • +1.32%
    • 체인링크
    • 21,950
    • +1.76%
    • 샌드박스
    • 566
    • +1.0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