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그린파워, 4000억 규모 영광야월 해상풍력 프로젝트 환경영향평가 절차 돌입

입력 2022-02-16 09: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한그린파워CI
▲대한그린파워CI

산업부가 해상풍력 민관합동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고 있는 가운데 대한그린파워가 영광야월해상풍력발전 개발 프로젝트에 속도를 낸다.

대한그린파워는 산업통상자원부로터 ‘영광야월 해상풍력 발전사업’ 환경영향평가 평가준비서에 대해 심의를 완료한 심의결과 통보를 받았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심의결과를 바탕으로 대한그린파워의 영광야월 해상풍력 프로젝트에 더욱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대규모 해상풍력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 국가 차원의 강력한 지원이 필수적인 만큼 정부는 적극적인 지원에 나섰다. 습지보호지역 내 송전선로 설치를 위한 ‘습지보전법 시행령’과 ‘REC 가중치 상향 고시’를 개정했다.

또 입지 발굴부터 인허가까지 일괄 지원하는 ‘풍력발전 보급촉진 특별법’이 지난해 5월 국회에서 발의돼 현재 5~6년 소요되는 사업기간이 2년 10개월로 획기적으로 단축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대한그린파워는 국내 1위 신재생에너지 개발 전문 디벨로퍼인 모회사 대한그린에너지와 공동으로 영광 해상풍력발전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108MW급 야월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을 시작으로 50MW급 두우리 해상풍력발전단지, 160MW급 칠산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사업을 차례로 추진할 계획이다.

대한그린파워 관계자는 “야월해상풍력 프로젝트 환경영향평가 준비서에 대한 산업부 심의 결과 회신이 완료되면서 본격적으로 1조 5천억 규모에 달하는 영광 해상풍력프로젝트에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며 “국내외 정책적인 면 등 사업 진행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고 있으며, 정부, 지자체, 주민 등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컨센서스가 많이 형성됨에 따라 그동안 답보 상태였던 해상풍력 프로젝트에 탄력이 붙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야월해상풍력발전 프로젝트의 경우 올해 인허가를 마무리하고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올 1월 해상풍력을 타겟으로 개발된 국내 최초 8MW급 해상풍력발전기 시운전이 순항하고 있으며, 성공적인 시운전을 기반으로 현재 추진하고 있는 해상풍력발전 프로젝트를 앞당겨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김진경·김승규 결혼식…손흥민·김민재·황희찬 등 국가대표 총출동
  • 푸바오 신랑감 후보…옆집오빠 허허 vs 거지왕자 위안멍 [해시태그]
  • 단독 용역업체가 수익금 관리?…한국콘텐츠진흥원 '부외현금' 관행 적발
  • 게임 맛집 슈퍼셀의 야심작 '스쿼드 버스터즈'…"간단한데 맛있다"[mG픽]
  • 의료 파업, 국민 77.3%가 반대…"원인은 의사 기득권 지키기" [데이터클립]
  • 야수 전원 출전한 '최강야구'…대구고 2차전 콜드승 쾌거
  • 연돈볼카츠 점주들 "월 3000만 원 예상 매출 허위" vs 더본코리아 "사실과 달라"
  • 단독 “호봉제 폐지”…현대차, 연구·일반직 임금체계 개편 재추진
  • 오늘의 상승종목

  • 06.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309,000
    • -1.64%
    • 이더리움
    • 4,833,000
    • -2.72%
    • 비트코인 캐시
    • 535,500
    • -9.77%
    • 리플
    • 680
    • -5.69%
    • 솔라나
    • 189,800
    • -6.13%
    • 에이다
    • 525
    • -8.22%
    • 이오스
    • 769
    • -12.71%
    • 트론
    • 163
    • -0.61%
    • 스텔라루멘
    • 127
    • -7.9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650
    • -12.09%
    • 체인링크
    • 19,000
    • -7.09%
    • 샌드박스
    • 432
    • -11.8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