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3%대' 대출 재개한 토스뱅크…실수요자 몰려 신청 폭주

입력 2022-01-03 15:41 수정 2022-01-03 17: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범 9일 만에 대출을 중단했던 토스뱅크가 새해 들어 신용대출 문을 다시 열었다. 지난 10월 은행 출범 직후 대출 한도 5000억 원이 바닥나며 신규 대출을 중단한 지 두 달여 만에 재개한 것이다. 연 3%대 금리와 높은 한도를 제공해 신청자들이 폭증하면서 대출한도 조회 서비스가 마비되는 현상도 벌어졌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토스뱅크는 연초부터 '최저 금리 3%대, 최고 한도 2억7000만 원'을 내세운 신용대출을 재개했다. 지난해 10월 출범한 토스뱅크는 영업 9일 만에 5000억 원가량의 대출 한도가 소진됐다. 신용대출 최저금리 연 2.76%, 한도 2억7000만 원(연 소득 이내)을 앞세우면서 대출 수요가 대거 몰린 탓이다. 당시 금융당국은 가계대출 급증세를 멈추기 위해 전체 금융권에 총량 제한을 지킬 것을 압박했고, 시중은행과 인터넷은행 카드와 보험사 등이 대출 금리를 올리고 한도를 낮췄다.

특히 이달 1일부터 2일까지는 DSR 1단계를 적용받는 마지막 기간인 탓에 조금이라도 유리한 조건에서 대출을 받고자 하는 수요가 더 컸던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대출 문턱이 갈수록 높아질 것을 예상해 가능할 때 미리 대출을 받아두는 가수요가 발생했다는 뜻이다.

올해부터 시행되는 강화된 DSR 규제는 본격적인 적용일이 이날부터다. 이에 따라 이달 1일에서 2일까지 대출을 실행한 이들은 DSR 1단계를 적용받았지만, 이날부터 대출을 실행할 경우 DSR 2단계를 적용받게 된다. DSR 2단계는 총대출액 2억 원 이상 차주에게 DSR 40%를 적용한다. 토스뱅크 대출한도 조회 서비스 안내문에도 DSR 2단계로 3일부터 한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 명시돼 있다.

이 때문에 편법영업 논란도 불거졌다. 금융당국의 강화된 대출 규제의 적용 시점이 1월 3일부터라는 틈새를 이용해 1월 1~2일 이틀간 공격적인 대출 영업을 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토스뱅크 관계자는 "DSR에 맞춰서 대출을 진행했다"며 "1월 1, 2일과 3일이 대출 기준이 다른건 맞지만, 당국의 가이드라인에 벗어나는 편법영업은 전혀 아니다"라고 말했다.

토스뱅크는 올해 건전한 중·저신용자를 발굴해 합리적인 대출서비스를 제공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중·저신용자는 신용점수 KCB 기준으로 820점 이하인 차주들을 뜻한다. 자영업자나 1300만 금융이력부족자 등 제1금융권 문턱을 넘지 못한 고객들에게 신용점수 하락에 미치는 악영향을 줄이고, 신용도 개선 기회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융권 휘젓는 정치…시장경제가 무너진다 [정치금융, 부활의 전주곡]
  • 요즘 20대 뭐하나 봤더니…"합정가서 마라탕 먹고 놀아요" [데이터클립]
  • "책임경영 어디갔나"…3년째 주가 하락에도 손 놓은 금호건설
  • "노란 카디건 또 품절됐대"…민희진부터 김호중까지 '블레임 룩'에 엇갈린 시선 [이슈크래커]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새로운 대남전단은 오물?…역대 삐라 살펴보니 [해시태그]
  • 尹 "동해에 최대 29년 쓸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올해 말 첫 시추작업 돌입"
  • "이의리 너마저"…토미 존에 우는 KIA, '디펜딩챔피언' LG 추격 뿌리칠까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034,000
    • +1.41%
    • 이더리움
    • 5,303,000
    • +0.02%
    • 비트코인 캐시
    • 648,000
    • +0.62%
    • 리플
    • 722
    • +0%
    • 솔라나
    • 229,600
    • -0.39%
    • 에이다
    • 632
    • +0.16%
    • 이오스
    • 1,139
    • +0.62%
    • 트론
    • 159
    • -0.63%
    • 스텔라루멘
    • 14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100
    • +0.77%
    • 체인링크
    • 24,960
    • -2.73%
    • 샌드박스
    • 646
    • +4.3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