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리테일, '고객 중심 데이터 경영' 새 경영전략 발표

입력 2022-01-03 11: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상품력 강화 역량 결집, 통합 시너지 인프라 구축 등도 강조

GS리테일이 고객 중심 데이터 경영 등을 골자로 한 새해 경영전략을 발표했다.

허연수 GS리테일 부회장(CEO)은 3일 오전 GS타워 25층에서 열린 ‘GS리테일의 새로운 비전 선포식’에서 ‘고객의 모든 경험을 연결하고 데이터로 공감하며 상품과 서비스로 신뢰 받는 플랫폼’ 기업으로 거듭나겠다는 새 비전을 선포했다.

이를 토대로 ‘진심을 담은 서비스와 공감의 디지털 기술로 당신만의 더 나은 일상을 함께 합니다’라는 고객과의 약속을 밝혔다. 임직원들에게는 GS리테일만의 새로운 조직가치와 일 하는 방식의 내재화도 주문했다.

GS리테일은 신년사에서 △데이터 중심의 고객만족 최우선 경영 △상품력 강화를 위한 전사 역량 결집 △통합 시너지 창출을 위한 성장 인프라 구축 등을 골자로 한 올해 경영전략을 발표했다.

GS리테일은 데이터 중심의 고객만족 최우선 경영을 위해 온ㆍ오프라인 전 채널에서 수집되는 빅데이터를 통합 및 활용해 개인화 마케팅 역량을 강화한다. 또 GS리테일 채널 내에서 생애 주기 별로 새로운 고객 경험을 끊임없이 제공해 나간다.

상품력 강화를 위해 밀키트 등 차별화된 맞춤형 상품 개발을 확대한다. 홈쇼핑BU 인기 독점 상품을 GS더프레시에서 사전 예약 판매하는 등의 전 채널 역량도 결집한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신선식품 원물 확보, 저장, 가공, 배송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친 물류망 투자를 확대해 GS리테일 전략 상품인 1차 상품의 신선 경쟁력을 더욱 강화한다. 전사적 IT 시스템의 최적화를 통해 디지털 물류망 구축 및 사업 효율화도 꾀한다.

마지막으로 성장 인프라 구축을 위해 퀵커머스, 반려동물, 식품 사업 등을 적극적으로 육성한다. GS리테일은 작년 요기요, 어바웃펫, 쿠캣 등 13개 회사에 5500억 원 규모의 직접 투자를 집행했다.

허 부회장은 “임인년은 진정한 통합 GS리테일로 거듭나 유통시장의 절대 강자로 도약하는 원년이 될 것”이라며 “임직원 모두와 함께 새로운 경영방침과 GS리테일의 약속, 비전을 기필코 달성해 최고의 고객 만족을 실현하는 2022년을 만들어 가겠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부산 마트 부탄가스 연쇄 폭발…불기둥·검은 연기 치솟은 현장 모습
  • BBQ, 치킨 가격 인상 또 5일 늦춰…정부 요청에 순응
  • 트럼프 형사재판 배심원단, 34개 혐의 유죄 평결...美 전직 최초
  • 고우석, 방출대기 명단 올랐다…메이저리그 입성 물 건너가나
  • 정용진 부부 데이트 현장 포착한 '밥이나 한잔해'…식당은 어디?
  • “이게 제대로 된 정부냐, 군부독재 방불케 해”…의협 촛불집회 열어 [가보니]
  • 비트코인, '마운트곡스發' 카운트다운 압력 이겨내며 일시 반등…매크로 국면 돌입 [Bit코인]
  • 단독 줄줄이 터지는 금융사고에... 6월 금융판 암행어사 뜬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058,000
    • +0.81%
    • 이더리움
    • 5,215,000
    • +0.06%
    • 비트코인 캐시
    • 647,000
    • +0.39%
    • 리플
    • 722
    • +0.14%
    • 솔라나
    • 231,000
    • -0.3%
    • 에이다
    • 625
    • +0.64%
    • 이오스
    • 1,127
    • +1.71%
    • 트론
    • 156
    • +1.3%
    • 스텔라루멘
    • 14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600
    • +0.99%
    • 체인링크
    • 24,840
    • -2.85%
    • 샌드박스
    • 607
    • -0.1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