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확산 지속에 아시아 신흥국 자금 유출 우려 재부상

입력 2021-06-16 16:01 수정 2021-06-17 08:5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5월 중국 제외 자금 유출 규모 12조 달해
각국 중앙은행, 자금 유출·경기 부양 사이에서 선택 기로

▲출처 닛케이
▲출처 닛케이
아시아 신흥국에서 자금 유출의 염려가 다시금 커지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감염 확산으로 경기 회복의 속도가 늦어지고 있는 것 이외에도 선진국의 향후 금리 인상에 따른 신흥국과의 금리차가 의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각국 중앙은행은 자금 유출과 경기 우려 사이에서 어려운 판단의 갈림길에 서게 됐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16일 국제금융협회(IIF)를 인용, 아시아 신흥국의 주식과 채권시장에서 해외 투자자들의 자금이 지난달 5억 달러 순유출됐다고 전했다. 순유출은 지난해 12월 이후 5개월 만이다. 자금 유입이 계속되고 있는 중국을 제외하면 유출액은 무려 108억 달러(약 12조679억 원)로 확대된다.

국가·지역별로는 태국과 말레이시아, 필리핀, 한국의 주식시장에서 유출되는 돈이 유입되는 자금을 초과했다.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종합지수(KLCI)와 필리핀 증시 종합지수(PESi)는 지난해 말 수준을 밑돌았다. 인도네시아 루피아화와 태국 바트화 등 주요 통화의 달러 대비 가치도 작년 말보다 낮은 수준이다.

해외 투자가들이 아시아 시장을 꺼리는 것은 동남아시아와 남아시아를 중심으로 코로나19 감염자가 여전히 고공 행진을 하고 있으며, 경제성장률이 하락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말레이시아에서는 이달 중순 해제 예정이었던 봉쇄 조처가 연말까지 연장되면서, 대부분 기업에서 조업 정지가 계속되게 됐다. 태국 역시 음식점 영업 및 외국인 관광객 수용 제한이 계속되면서 내년 경제 성장률 전망이 2.5~3.5%에서 1.5~25%로 하향 조정됐다.

인플레이션으로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 중장기적 금리 상승이 진행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한 것도 자금 유출 추세에 박차를 가하는 요인이 됐다. 만약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연내 테이퍼링(자산매입의 점진적 축소) 검토를 표명할 경우 금리가 낮은 아시아 신흥국에서의 자금 유출은 한층 더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시아 신흥국 중앙은행들은 어려운 선택의 기로에 놓이게 됐다. 현재 경기 부양을 우선하면 금융완화를 단행해도 전혀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지만, 자금 유출 우려를 해소하는 역할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조나단 포턴 IIF 연구원은 “신흥국 중앙은행의 향후 최대 중요 과제는 연준 테이퍼링에 따른 시장 혼란에 흔들리지 않고, 선진국 금리 인상 물결에 뒤지지 않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탕탕 후루후루 탕탕탕 후루루루루"…'마라탕후루' 챌린지 인기
  • “뚱뚱하면 빨리 죽어”…각종 질병 원인 되는 ‘비만’
  • "24일 서울역서 칼부림" 협박글에…경찰 추적 중
  • '음주 뺑소니' 김호중 구속될까…오늘 영장실질심사, 정오께 출석
  • 미국 증권위, 비트코인 이어 이더리움 현물 ETF 상장 승인
  • 단독 우리금융, 여성 리더 육성 프로그램 2년 만에 되살린다
  • 지난해 가장 잘 팔린 아이스크림은?…매출액 1위 공개 [그래픽 스토리]
  • 금사과도, 무더위도, 항공기 비상착륙도…모두 '이상기후' 영향이라고?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5.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638,000
    • -0.61%
    • 이더리움
    • 5,259,000
    • +1.92%
    • 비트코인 캐시
    • 687,000
    • +0.15%
    • 리플
    • 739
    • +1.93%
    • 솔라나
    • 246,100
    • +1.07%
    • 에이다
    • 650
    • -2.4%
    • 이오스
    • 1,148
    • -1.46%
    • 트론
    • 160
    • -3.03%
    • 스텔라루멘
    • 153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9,500
    • -1.49%
    • 체인링크
    • 23,100
    • +2.76%
    • 샌드박스
    • 621
    • -1.4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