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5월 세계 조선 수주 1위…전체 59% 수주

입력 2021-06-10 09: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중국 제치고 1위 되찾아…신조선가지수 6개월 연속 상승

▲삼성중공업이 건조한 1만3000TEU급 컨테이너선 (사진제공=삼성중공업)
▲삼성중공업이 건조한 1만3000TEU급 컨테이너선 (사진제공=삼성중공업)

지난달 글로벌 선박 수주 시장에서 한국이 60% 가까이 수주하며 선두를 차지했다. 4월 중국에 밀려 2위를 기록한 지 한 달 만에 1위를 되찾은 것이다.

10일 영국 조선해운시황 전문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5월 전 세계 선박 수주량은 127만CGT(60척)를 기록했다.

국가별로는 중국 71만CGT(31척, 56%), 한국 44만CGT(24척, 35%), 일본 11만CGT(5척, 9%)를 각각 수주한 것으로 집계됐으나 이는 지난달 말 한국 조선사들이 대거 수주한 실적이 반영되지 않은 결과다.

클락슨리서치의 ‘야드별 OrderBook’ 데이터를 반영하면 LNG운반선, 컨테이너선, PC선 등 16척(98만CGT)이 추가돼 한국이 전체 수주량의 59%를 차지, 1위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월 세계 누계 수주량은 1907만CGT로 전년 동기 대비 179%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중국 892만CGT(321척, 47%), 한국 832만CGT(212척, 44%)로 중국이 근소한 차로 1위이나 한국은 전년 1~5월 109만CGT 대비 약 7배(662%)가량 증가했다. 이는 2008년 1~5월 967만CGT를 기록한 이후 13년 만에 최대 규모다.

특히, 한국은 올해 발주된 LNG추진선 67척 중 31척(46%), LPG추진선 48척 중 36척(75%)을 수주하는 등 친환경 연료추진 선박에서 경쟁 우위를 보이고 있다.

5월 말 전 세계 수주잔량은 4월 말 대비 71만CGT(1%) 감소한 7,738만CGT를 기록했다.

국가별로는 한국(28만CGT, 1%↓), 중국(18만CGT, 1%↓), 일본(△15만CGT, 2%↓) 모두 소폭 감소했다. 지난해 같은 시기와 비교하면 한국(378만CGT, 18%↑)은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중국(130만CGT, 5%↑)은 소폭 증가, 일본(△345만CGT, 29%↓)은 크게 감소했다.

국가별 수주잔량은 중국 2985만CGT(39%)에 이어 한국 2440만CGT(32%), 일본 832만CGT(11%) 순이다.

5월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136.1포인트를 기록하며 6개월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는 2014년 12월 137.8포인트 이후 6년 반 만에 최고치다.

선종별로는 컨테이너선(1만3000~1만4000TEU)과 초대형 유조선(VLCC)은 각각 지난달보다 200만 달러 오른 1억2250만 달러, 9500만 달러를 기록했다. LNG선과 S-max 유조선은 각각 100만 달러 오른 1억8900만 달러, 6300만 달러로 집계됐다. A-max 유조선은 지난달과 동일한 5050만 달러로 나타났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그 많던 카드 모집인 어디로…첫 5000명 선 붕괴
  • '주가 급락' NCT·김희철 원정 성매매·마약 루머…SM 입장 발표
  • 윤민수, 전 부인과 함께 윤후 졸업식 참석…사진 보니
  • 항상 화가 나 있는 야구 팬들, 행복한 거 맞나요? [요즘, 이거]
  • 트럼프 틱톡, 개설 사흘 만에 팔로워 500만…35만 바이든 캠프 압도
  • 지난해 '폭염' 부른 엘니뇨 사라진다…그런데 온난화는 계속된다고? [이슈크래커]
  • 김호중 후폭풍 일파만파…홍지윤→손호준, 소속사와 줄줄이 계약 해지
  • KFC, 오늘부터 가격 조정…징거세트 100원 인상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10:4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120,000
    • +2.1%
    • 이더리움
    • 5,295,000
    • +0.97%
    • 비트코인 캐시
    • 662,500
    • +2.55%
    • 리플
    • 728
    • +0.41%
    • 솔라나
    • 238,600
    • +3.16%
    • 에이다
    • 642
    • +0.31%
    • 이오스
    • 1,122
    • +0.9%
    • 트론
    • 159
    • +0%
    • 스텔라루멘
    • 148
    • +1.3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700
    • +2.69%
    • 체인링크
    • 24,710
    • +1.02%
    • 샌드박스
    • 646
    • +1.4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