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콜마, 창립 31주년 새 CI 선포 "글로벌 뷰티ㆍ헬스케어 플랫폼 도약"

입력 2021-05-17 09:4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콜마가 창립 31주년을 맞아 ‘뷰티 & 바이오헬스케어 분야의 글로벌 넘버원 플랫폼 서비스 기업으로의 도약’ 의지를 담은 새 CI를 선포했다고 17일 밝혔다.

한국콜마의 CI 변경은 2011년 이후 10년 만이다.

새로운 CI는 ‘연결’ ‘혁신’ ‘문’이란 개념을 모티브로 해 한국콜마의 영문 이니셜인 'H'와 'K'를 문(門) 모양으로 형상화한 심볼마크로 개발했다. 뷰티ㆍ헬스케어 관련 모든 제품이 ‘Kolmar’라는 문을 통해 세계와 연결된다는 뜻이다.

1990년 창립 이후 축적해온 혁신 기술을 바탕으로 사람과 기술, 기회를 연결해 고객의 비전을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역동적인 사선과 이노베이션 블루(Innovation Blue) 색상은 한국콜마가 창사 이래 한결같이 지켜오는 신뢰와 혁신성을 상징한다.

슬로건도 'Science to Serve'에서 'Connect For Innovation'으로 변경했다. '고객섬김' 이란 가치를 뛰어넘어 고객사의 비전과 소비자의 니즈를 연결해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 나가겠다는 '연결'의 의미를 강조했다.

한국콜마 전 관계사는 새로운 CI와 슬로건에 담긴 의미처럼 혁신 기술로 가득찬 콜마라는 플랫폼에 전 세계 고객을 연결해 화장품,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사업에 대한 전 분야의 종합 서비스를 제공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올해 신규 CI 도입에 발맞춰, 3대 핵심 사업에서 다시 한번 도약할 수 있는 성장의 기반도 다지고 있다. 화장품 사업에서는 중국, 미국 사업장이 코로나19 영향에서 점차 벗어나며 실적 개선에 청신호가 켜졌고, 의약품 사업에서는 관계사 HK inno.N이 연내 코스닥 상장 목표로 IPO 절차가 본격화되고 있다. 건강기능식품 사업에서는 강소콜마와 연태콜마의 완공으로 관계사 콜마비앤에이치의 중국 시장 공략이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윤상현 부회장은 창립 31주년 기념사를 통해 "콜마의 새로운 CI는 세계로 향하는 문이라는 의미가 담겨있으며, 혁신적인 기술과 제품들이 콜마라는 문을 통해 글로벌 무대로 나아가게 될 것”이라며 "전 세계 모든 고객사의 비전과 가치를 실현해 주는 플랫폼 서비스 기업으로 발돋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탕탕 후루후루”·“야레야레 못 말리는 아가씨”…나만 킹받는거 아니죠? [요즘, 이거]
  • 변우석 팬미팅·임영웅 콘서트 티켓이 500만 원?…'암표'에 대학교도 골머리 [이슈크래커]
  • 창업·재직자 은행 대출 어렵다면…'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십분청년백서]
  • 서울고법 "최태원, 노소영에 1조3800억원 재산분할"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용산역 역세권에 3.7M 층고…코리빙하우스 ‘에피소드 용산 241’ 가보니[르포]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160,000
    • +1.31%
    • 이더리움
    • 5,258,000
    • +0%
    • 비트코인 캐시
    • 655,500
    • +1.31%
    • 리플
    • 728
    • -0.82%
    • 솔라나
    • 233,900
    • +0.3%
    • 에이다
    • 627
    • -1.42%
    • 이오스
    • 1,131
    • +1.07%
    • 트론
    • 156
    • +0.65%
    • 스텔라루멘
    • 149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950
    • -0.35%
    • 체인링크
    • 25,460
    • -2.79%
    • 샌드박스
    • 612
    • -2.5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