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핑과 콘텐츠 감상 한번에" K쇼핑, 영상 콘텐츠 제공 'K플레이' 서비스 론칭

입력 2021-03-02 09: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모바일향 콘텐츠 커머스 플랫폼으로 도약"

(사진제공=K쇼핑)
(사진제공=K쇼핑)

K쇼핑이 홈쇼핑 업계 최초로 모바일에서 쇼핑도 하고 영화도 무료로 볼 수 있는 신규 서비스를 론칭하며 모바일 콘텐츠 커머스를 본격 확대한다.

K쇼핑은 모바일 고객 확대를 위해 3일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인 ‘K플레이’를 업계 최초로 론칭한다고 2일 밝혔다.

우선 명작 영화와 해외 인기시리즈,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VOD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하고, 셀럽, 크리에이터,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정보성, 예능형 영상 등으로 콘텐츠의 범위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K플레이’는 별도의 앱 설치나 멤버십 결제 없이 K쇼핑 가입만 하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기존 K쇼핑 모바일 앱을 통해서 누구나 2200여 편의 영상 콘텐츠를 언제 어디서나 무제한으로 즐길 수 있다.

K쇼핑을 운영하는 KTH는 "1만 7천여편의 영화, 시리즈, 애니, 교육 등 다양한 장르의 디지털 콘텐츠를 포함한 국내 최대 통합 판권 라이브러리를 구축한 만큼 탄탄한 콘텐츠 유통 사업역량을 기반으로 원활한 디지털 콘텐츠 배급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K쇼핑은 서비스 론칭 기념으로 K플레이를 시청한 후 이벤트 페이지에 응모한 모든 고객에게 K쇼핑 1만 원 적립금을 증정하는 프로모션을 21일까지 진행한다.

K쇼핑은 빠르게 성장하는 모바일 라이브와 TV MCN 서비스 확대를 통해 TV, 모바일 등 플랫폼의 경계를 허물고 커머스 통합 플랫폼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분야별 전문가, 셀럽, 크리에이터와 함께 정보성, 예능형 콘텐츠를 제작해 플랫폼이나 시간의 제약 없이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K플레이’ 서비스를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김태환 KTH 총괄부사장은 “홈쇼핑에서 쇼핑만 한다는 관념에서 탈피해 영화도 보고 유익한 정보성 콘텐츠도 시청하면서 고객들이 하루 종일 즐길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기존 K쇼핑 TV방송과 TV MCN, 모바일 라이브, 그리고 새롭게 도입한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인 ‘K플레이’의 유기적인 시너지를 통해 TV, 모바일 등 하나의 플랫폼에 국한되지 않고 미디어를 넘나드는 콘텐츠 커머스 플랫폼으로 발돋움하겠다"라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형사재판 배심원단, 34개 혐의 유죄 평결...美 전직 최초
  • 고우석, 방출대기 명단 올랐다…메이저리그 입성 물 건너가나
  • 정용진 부부 데이트 현장 포착한 '밥이나 한잔해'…식당은 어디?
  • “이게 제대로 된 정부냐, 군부독재 방불케 해”…의협 촛불집회 열어 [가보니]
  • 비트코인, '마운트곡스發' 카운트다운 압력 이겨내며 일시 반등…매크로 국면 돌입 [Bit코인]
  • 단독 줄줄이 터지는 금융사고에... 6월 금융판 암행어사 뜬다
  • 무용가 이선태, 마약 투약 및 유통…'댄싱9' 다시보기 중단
  • “탕탕 후루후루”·“야레야레 못 말리는 아가씨”…나만 킹받는거 아니죠? [요즘, 이거]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11:1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310,000
    • +1.3%
    • 이더리움
    • 5,216,000
    • -0.36%
    • 비트코인 캐시
    • 646,500
    • -0.23%
    • 리플
    • 722
    • -0.96%
    • 솔라나
    • 232,000
    • -1.07%
    • 에이다
    • 623
    • -1.11%
    • 이오스
    • 1,123
    • -0.44%
    • 트론
    • 155
    • -0.64%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550
    • +0.23%
    • 체인링크
    • 25,020
    • -4.87%
    • 샌드박스
    • 607
    • -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