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삼성 XM3, "새차증후군 유발 유해물질 적게 검출…모든 권고치 만족"

입력 2021-01-19 09:4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해 출시된 7개 차종 대상 국토부 조사…XM3, 4개 물질 가장 적게 검출

▲르노삼성의 소형 SUV XM3가 국토교통부의 ‘신차 실내공기질 조사’에서 모든 항목에 걸쳐 기준치를 만족시켰다.  (사진제공=르노삼성)
▲르노삼성의 소형 SUV XM3가 국토교통부의 ‘신차 실내공기질 조사’에서 모든 항목에 걸쳐 기준치를 만족시켰다. (사진제공=르노삼성)

르노삼성자동차의 소형 SUV XM3가 국토교통부의 ‘신차 실내공기질 조사’에서 모든 항목에 걸쳐 기준치를 만족시켰다.

19일 르노삼성에 따르면 XM3는 지난해 국내에 출시된 7개 차종을 대상으로 한 국토부 검사에서 모든 권고기준을 만족했고, 8개 유해물질 측정 항목 중 톨루엔과 벤젠, 자일렌, 아세트알데하이드 4개 물질이 검사 대상 차종 중 가장 적게 검출됐다.

폼알데하이드와 에틸벤젠, 스티렌 등 나머지 4개 물질도 권고기준 대비 낮은 검출량을 보여 ‘새 차 증후군’을 유발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유해물질이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새 차 증후군’이란 차의 내장재와 시트 등을 제작, 조립할 때 사용하는 페인트나 접착제 등에 포함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이 원인이 돼 발생하는 증상이다. 만성두통과 호흡기질환, 피부질환 등의 증상을 유발하기도 하는데, 벤젠과 폼알데하이드 등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인체 발암물질로 구분된다.

또한, 자일렌과 톨루엔 등의 유해물질은 구토와 현기증, 중추신경 이상과 알레르기 증상 악화 같은 부작용이 있고 호흡기와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등 일명 ‘새 차 냄새’로 부르는 새 차 증후군의 주요 원인물질이다.

이해진 르노삼성 제조본부장은 “당사는 내장재와 시트 등 생산공정 전반에 대해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적용된 접합제 사용을 최소화하도록 규정하고 있다”라면서 “또한 차량 내부 인테리어 조립공정에도 접착제 사용을 억제한 공정을 적용해 신차 초기품질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고객건강까지 챙길 수 있는 차를 생산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금감원, 가상자산거래소에 감독분담금 청구한다
  • "중국이 중국했다" 손흥민·이강인 향한 좁은 속내…합성사진 논란
  • "올여름 폭염·폭우 지속될 것…미리 대비해야"
  • 지하철서 잠든 이준석 사진 확산…출퇴근 목격담도
  • '밀양 사건' 피해자 "함께 분노해주셔서 감사…반짝하고 끝나지 않길"
  • 고유정·이은해·엄인숙·전현주…‘그녀가 죽였다’ 숨겨진 이야기 [해시태그]
  • “고객의 시간을 점유하라”...쉬지 않고 뻗어나가는 ‘뉴월드’ [정용진號 출범 100일]
  • 뇌전증 전문 교수들, 집단휴진 불참…“환자 위기 빠트리는 행동 삼가야”
  • 오늘의 상승종목

  • 06.14 12:5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468,000
    • -0.74%
    • 이더리움
    • 4,939,000
    • -0.04%
    • 비트코인 캐시
    • 612,500
    • -3.09%
    • 리플
    • 678
    • -1.17%
    • 솔라나
    • 208,700
    • -2.39%
    • 에이다
    • 596
    • -2.13%
    • 이오스
    • 957
    • -1.95%
    • 트론
    • 165
    • +0%
    • 스텔라루멘
    • 138
    • -1.43%
    • 비트코인에스브이
    • 71,850
    • -1.44%
    • 체인링크
    • 21,610
    • -1.19%
    • 샌드박스
    • 555
    • -2.1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