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O 시동 건 쏘카…문제는 외형 성장 못 따라가는 수익성

입력 2020-11-10 16:5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쏘카 실적 및 재무 추이.
▲쏘카 실적 및 재무 추이.
카셰어링 업체 쏘카가 기업공개(IPO)를 추진하는 가운데 외형 성장 대비 부진한 수익성 만회 여부에 이목이 쏠린다.

10일 쏘카는 전날 다수의 증권사에 IPO 주관사 선정을 위한 입찰제안서를 발송했다고 밝혔다. 쏘카 누적 회원 수는 600만 명이며 전국에 1만2000대가량의 공유 차량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SG PE와 송현인베스트먼트로부터 총 600억 원의 투자를 유치하는 등 누적 투자 금액은 약 3300억 원에 달한다. 현재 카셰어링 외에 대리운전 서비스 ‘타다 대리’와 가맹 택시 ‘타다 라이트’를 서비스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온라인 중고차 플랫폼 ‘캐스팅’을 출시하기도 했다.

사업 분야를 확대하는 만큼 쏘카의 외형 역시 성장세가 가파르다. 쏘카 매출은 2015년 448억 원에서 이듬해 882억 원으로 두 배가량 성장했고 2017년에는 1211억 원으로 1000억 원을 돌파했다. 2018년에는 1594억 원으로 성장세가 다소 주춤했으나 작년 2567억 원으로 성장에 속도를 더했다.

반면 외형 성장세에 못미치는 수익성은 쏘카의 고민거리다. 매출 규모가 느는 만큼 수익성은 오히려 악화하는 추세다.

쏘카의 영업손실 규모는 2015년 60억 원에서 2016년 213억 원으로 급증했다. 2017년에는 178억 원으로 적자 폭을 다소 줄였으나 2018년 331억 원으로 재차 늘었고 작년에는 716억 원으로 적자 규모가 두 배 이상 늘었다. 영업이익률로 따져보면 2015년 -13.35%에서 지난해 -27.90%로 악화했다.

현재 사업 구조에서 돈을 벌지 못하니 차입은 늘고 재무구조도 나빠졌다. 작년 말 기준 쏘카의 자산 2634억 원 중 부채만 2183억 원에 달한다. 연속된 순손실로 쌓인 결손금이 1778억 원이다. 이를 부채비율로 환산하면 22015년 41.21%에서 작년에는 483.57%로 4년 새 10배 이상 증가했다.

외부 차입에 대한 의존도 역시 커져 차입금의존도는 2015년 26.04%에서 지난해 72.57%로 급증했다. 반대로 유동비율은 2015년 468.27%에서 지난해 32.36%로 쪼그라들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해외기업 '하도급 갑질' 꼬리 자른다 [하도급법 사각지대①]
  • '주말 소나기'에도 식지 않는 불볕더위…오후부터 자외선·오존 주의보
  • '엘롯라시코'에 팬들도 탈진…이틀 연속 9:8 '끝내기 혈투'
  • 비트코인, 6만6000달러에서 관망세 계속…"내달 이더리움 ETF 거래 기대감↑"[Bit코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삼성전자, '포브스' 글로벌 순위 21위…전년비 7계단 하락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14:5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090,000
    • -0.75%
    • 이더리움
    • 5,014,000
    • -0.63%
    • 비트코인 캐시
    • 592,500
    • -2.79%
    • 리플
    • 688
    • -0.86%
    • 솔라나
    • 207,500
    • +1.57%
    • 에이다
    • 577
    • -1.54%
    • 이오스
    • 903
    • -3.42%
    • 트론
    • 165
    • +0.61%
    • 스텔라루멘
    • 13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7,750
    • -3.08%
    • 체인링크
    • 20,750
    • -1.1%
    • 샌드박스
    • 518
    • -4.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