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 속으로] 한국판 뉴딜 바람을 이끌 해상풍력

입력 2020-09-10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지산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장

주식 시장에서 한국판 뉴딜 바람이 거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계기로 성장 산업과 전통 산업 간 밸류에이션(가치)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고, 풍부한 유동성은 성장 산업에 쏠리고 있다. 정부는 한국판 뉴딜 정책을 통해 성장 산업 분야를 재정의하고, 체계적이고 장기적으로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주식 시장이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것이 당연하다.

그린뉴딜 정책 중 풍력발전, 그중에서 해상풍력의 성장성이 유망하다. 친환경을 표방하는 전기차가 화석 연료로 만들어진 전기로 달린다는 것은 난센스다. 2050년 탄소 중립 목표를 향해 에너지원은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로 바뀌어야 할 것이다.

글로벌 해상풍력은 기술 발전, 원가 하락, 주요국 지원 정책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지구의 70% 이상이 바다로 덮여 있고, 풍속이 육지보다 연안에서 상당히 강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해상풍력의 펀더멘털(내재가치)은 유망하다. 해상풍력의 원가는 규모의 경제 확보, 터빈의 대형화를 통해 지난 10년간 50% 이상 하락했다. 해상풍력의 선두 주자인 영국에서는 해상풍력이 이미 새로운 전력을 위한 가장 저렴한 옵션이 됐다. 가스나 원자력보다도 저렴한 것이다.

지난해 말까지 해상풍력의 누적 설치 용량은 29GW(기가와트)다. 국가별 점유율은 영국 33%, 독일 26%, 중국 24%로 3사가 압도적이고, 75%가 유럽에 집중돼 있다. 향후 신규 해상풍력 시장은 2025년까지 연평균 23% 성장해 2025년에는 20GW를 넘어서고, 2030년에는 32GW에 도달할 전망이다. 향후 10년간 205GW의 신규 수요가 더해질 것이다. 풍력 시장에서 해상풍력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9년 10%에서 2025년에는 20%를 상회할 것이다. 지역별로는 유럽이 주축을 유지하는 가운데, 중국, 대만, 한국 등 아시아 시장이 고성장세를 보일 것이고, 미국은 2024년부터 주요 시장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수심이 깊은 바다를 대상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풍력이 기회의 영역이 될 것이다.

이웃 나라인 대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국토 면적이 제한돼 있고, 에너지 공급이 불안정하다 보니 전력 생산을 위해 해안을 개척하고 있다. 대만 정부는 탈원전 및 신재생 확충 에너지 정책 기조 아래 현재 가동 중인 원전을 2025년까지 폐로할 예정이다. 그 대신 2025년까지 해상풍력 5.5GW를 설치하기 위한 발주를 마쳤다.

우리나라는 ‘재생에너지 3020 계획’에 기반해 2030년까지 해상풍력 12GW를 설치하겠다는 목표가 유효하다. 우리나라는 대량의 에너지 자원을 수입하는 한편, 육상풍력 설치를 위한 입지가 부족한 대신, 삼면이 바다이기 때문에 해상풍력이 더욱 요구된다. 우리나라는 반도체, IT, 자동차, 화학 등 에너지 집약적 산업 비중이 높으면서 조선, 기계, 철강 등의 산업 경쟁력을 통해 해양 엔지니어링 및 공급망 역량이 풍부하다.

하지만 과거 정부의 ‘녹색성장’ 정책은 기폭제가 되지 못했다. 복잡한 행정 절차 및 긴 허가 기간, 낮은 발전차액지원제도 등 정책적 걸림돌이 많다. 2020년 6월 기준 운전 중인 발전용량은 132MW에 그치고 있다.

이번 그린뉴딜 정책 중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 입지 발굴을 위해 13개 권역의 타당성을 조사하고, 전남 영광에 실증단지를 구축하겠다는 안이 포함돼 있다. 정부는 2030년까지 연평균 1.2GW 해상풍력을 신규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총 23개의 해상풍력 프로젝트가 준비돼 있고, 총 3.7GW에 이를 것이다.

해상풍력 등 풍력발전이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될 거라면 전략적으로 서두르는 게 좋을 것이다. 패러다임 변화의 시기에 기회는 속도에서 나온다. 조만간 새로운 해상풍력 프로젝트가 원자력이나 가스화력발전소보다 건설과 운영 비용이 저렴해질 것이다. 설비 투자, 고용 창출 등 경제적 유발 효과도 클 것이다. 터빈, 기자재, 전선, 운영시스템 등 전 분야에 걸쳐 우리 기업들에 기회가 될 것이다. 풍력 선진국인 덴마크의 풍력 클러스터에는 500여 개 업체가 입주해 있고, 덴마크 GDP의 4%를 담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인 가구 청년들을 위한 다양한 소통 프로그램 '건강한 밥상' [십분청년백서]
  • 서울에는 김밥·구미에는 라면…주말 분식 축제 [그래픽 스토리]
  • 삼성전자 반도체 이익 40% 줄었지만… 메모리 선방ㆍHBM 희망 봤다
  • “금투세, 폐지 대신 공제 늘리자”…野 ‘절충 법안’ 속속 발의 [관심法]
  • 尹, 北ICBM 발사에 "강력 대응"…고체연료 주요 부품 北 수출 금지[종합2보]
  • '나는 솔로' 제작진, 23기 출연자 논란에 "시청자 불편함 없도록 조치할 것"
  • 9월 전국 주택 인허가·착공 하락세… ‘악성 미분양’은 증가
  • LA 다저스, 뉴욕 양키스 꺾고 역대 8번째 월드시리즈 우승
  • 오늘의 상승종목

  • 10.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325,000
    • -2.41%
    • 이더리움
    • 3,516,000
    • -5.15%
    • 비트코인 캐시
    • 502,000
    • -2.9%
    • 리플
    • 712
    • -2.2%
    • 솔라나
    • 236,200
    • -3.16%
    • 에이다
    • 478
    • -3.43%
    • 이오스
    • 617
    • -4.04%
    • 트론
    • 235
    • -0.42%
    • 스텔라루멘
    • 129
    • -2.27%
    • 비트코인에스브이
    • 73,050
    • +3.69%
    • 체인링크
    • 15,950
    • -7.48%
    • 샌드박스
    • 340
    • -5.0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