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업 코로나19로 3월 매출 전년대비 27.5%↓…"2008년 금융위기보다 어렵다"

입력 2020-04-02 11:0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KMI, 74개 해운기업 코로나19 영향 설문조사

▲74개 해운기업 코로나19 사태 이후 영향 설문조사 결과.  (출처=한국해양수산개발원)
▲74개 해운기업 코로나19 사태 이후 영향 설문조사 결과. (출처=한국해양수산개발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3월 해운기업의 매출이 지난해 3월과 비교해 평균 27.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운기업들은 정부의 유동성 지원 등 경영자금 지원이 즉시 필요하다고 답했다. 또 38%는 2008년 금융위기와 비교해 해운기업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고 보고 있었다.

2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해운물류연구본부가 3월 17일부터 20일까지 4일간 74개 해운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 '코로나19 영향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코로나19로 매출이 전년동월대비 평균 27.4% 감소했다. 기업 78%는 코로나19가 해운기업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해 나쁨 이상이라고 답했다. 또 코로나19가 2008년 금융위기와 비교해 해운기업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는 46%가 비슷하다고 답했으나 38%는 더 크다고 봤다. 49%가 코로나19가 해운기업에 미치는 영향이 해소되기까지 3~6개월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6개월~1년도 38%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3%는 2년 이상 걸린다고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해운기업들은 정부의 지원방안 중 유동성 지원 등 경영자금 지원이 가장 필요하다(67%)고 답했다. 이어 대출금리 인하(14%), 국적 화물 적취율 제고 지원(11%), 세제 지원(3%) 순이었다. 특히 정부 지원의 실효성 있는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72%의 기업이 지금 즉시(36%)나 2개월 이내(36%)로 답해 속도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운기업들은 인도네시아, 호주 등 입항 시 검역으로 시간 손실이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지원을 주문했고 국가 간 이동제한으로 인한 물동량 감소, 선원 교대 시 적절한 교대 불가로 인한 선박 대기 및 검진비 등 추가 비용이 과대 발생하고 있다고 호소했다. 특히 해상직원에 대한 상륙불허 등 지나칠 정도의 규제가 시행되고 있어 선원들의 안전용품 수급 등 현실적인 도움을 요구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벤츠가 특별 제작한 자동차 받은 페이커, 반응은?
  • 1년 새 3배 넘게 폭증한 10대 사범…고민 깊던 정부, 정책방향 전환키로
  • 한국, 싱가포르에 7-0 대승…손흥민ㆍ이강인 멀티골 "오늘 뿌듯하다"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비트코인, 비농업 부문 고용 지표 하루 앞두고 '움찔'…7만 달러서 횡보 [Bit코인]
  • '하늘의 도깨비' F-4 팬텀 퇴역…55년 우리 영공 지키고 역사 속으로
  • 삼성전자 노조, 오늘 연차 파업…"생산 차질 없을 듯"
  • 손흥민, 토트넘 떠나 페네르바체행?…레비 회장 "새빨간 거짓말"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11:3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267,000
    • -0.08%
    • 이더리움
    • 5,273,000
    • -1.46%
    • 비트코인 캐시
    • 685,500
    • -0.87%
    • 리플
    • 723
    • -0.55%
    • 솔라나
    • 235,200
    • -2.2%
    • 에이다
    • 635
    • -0.63%
    • 이오스
    • 1,083
    • -2.61%
    • 트론
    • 160
    • +1.27%
    • 스텔라루멘
    • 146
    • -1.35%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950
    • -1.53%
    • 체인링크
    • 24,000
    • -2.16%
    • 샌드박스
    • 648
    • -0.1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