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디플레이션에 돌입할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수출이 회복세를 보이며 물가가 안정을 찾아갈 것이란 전망이다.
김찬희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8일 “지난주 발표된 한국 9월 소비자물자는 2개월째 전년 동기 대비 마이너스(-)를 기록하며 디플레이션 우려를 자극했다”며 “디플레이션이란 재화와 용역의 물가 하락이 고착화되는 상태를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다른나라의 경우 일본은 1990년대 초 자산시장 버블 붕괴 이후 내수 부진이 심화되면서 만성적 디플레이션이 시작됐다”며 “버블 당시 축적된 과잉설비 조정이 장기간 걸쳐 진행되면서 기업투자 위축세가 이어졌다”고 짚었다.
이어 “민간소비는 역(-)자산 효과로 소비 심리가 부진한 가운데 1997년 소비세 인상이 치명타를 입혔다”며 “누적된 물가 하방 압력 속에 명목임금 하락세가 가팔라졌고 소득 감소가 기업 생산 및 투자 부진으로 이어지는 디플레이션 악순환이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그는 “유로존은 2011~2012년 재정 위기 여파로 경제 전반에 수요 충격이 목도되면서 남유럽 국가를 중심으로 디플레이션 위기가 찾아왔다”며 “그리스 등 남유럽 국가는 재정 위기 전까지 정부부문 중심으로 경제 성장을 구가했다”고 밝혔다.
또 “반대 급부로 재정건전성이 취약해졌고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유로존은 각국의 재정 긴축을 압박했다”며 “공공부문 수요가 급감했으며 이는 민간부문으로 전이돼 경제 전반의 성장 동력 약화와 디플레이션에 진입하게 됐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일본과 유로존의 사례를 볼 때 강력한 충격에 의해 총수요가 위축되면서 디플레이션이 동반됐다”며 “일본은 자산버블 붕괴, 유로존의 경우 재정 긴축이 주요 요인이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미중 무역 분쟁에 따른 대외 수요 부진이 총수요 둔화를 야기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그러나 미중 양국이 협상 가능성을 열어놓은 가운데 한국 수출 감소세도 완화되고 있다”며 “미국 등 선진국에 이어 한국 역시 확장 재정과 통화 완화를 통해 수요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디플레이션 진입에 대한 판단은 시기상조”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