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사, 수수료 인하에 순이익 감소 현실로…전년 대비 21.5%↓

입력 2019-03-28 13:35 수정 2019-03-28 18: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감독규정·IFRS 기준, 충당금 적립 효과 제외 시 모두 감소

지난해 카드사 당기순이익이 최대 21% 이상 줄었다. 카드사용량 증가로 절대적인 수수료 수입은 늘었지만, 대형가맹점에 쓰이는 마케팅비용과 수수료율 인하에 따른 수익 감소의 여파로 전체 비용이 약 1조 원 증가했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은 마케팅비용 축소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대형가맹점 수수료율 인상이 불가피함을 시사했다.

금감원은 28일 8개 전업 카드사 잠정 영업실적을 발표했다. 감독규정 기준 당기순이익은 1조4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2.3%(1511억 원) 증가했다. 하지만 카드사가 2017년 6월 카드론 복수 차주 관련 대손충당금을 2129억 원 더 지출한 기저효과를 고려하면 전년 대비 4.4%(629억 원) 감소했다.

국제회계기준(IFRS) 적용 시 카드사 수익은 급감했다. IFRS 기준 지난해 카드사 순이익은 1조7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21.5%(4772억 원) 줄었다. IFRS 기준은 감독규정보다 대손충당금 적립 기준이 약하다. 일부 카드사의 충당금 환입 등 기저효과를 제외해도 전년 대비 7.4%(1391억 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금감원 이상민 여신금융감독국장은 “감독 규정상으로는 충당금이 강화됐고, IFRS 기준으로는 충당금 환입(이익)이 발생했다며” 차이를 걷어내면 감독기준이든 IFRS 기준이든 순이익이 소폭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카드사는 지난해 가맹점수수료 수익 6000억 원과 카드론 수익 4000억 원 등 총수익 1조1300억 원 증가했다. 하지만 마케팅비용과 자금조달비용이 각각 6000억 원과 2000억 원 증가하는 등 총비용도 9800억 원 증가했다.

금감원은 카드사 실적 악화 원인으로 대형가맹점 위주로 소비되는 마케팅비용을 지적했다. 이는 카드사가 대형가맹점과 수수료율 협상에 난항을 겪자 지원사격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금감원 관계자는 “가맹수익이 6000억 원 늘었는데 이는 볼륨(결제량)이 늘어났기 때문”이라며 “카드사가 비용을 얼마나 줄이는지 관건”이라고 말했다. 또 “마케팅 비용이 시장에 많이 쓰인다”며 “이를 감축하는 방향으로 가야 하고 (카드사가) 새 사업 모델도 내놔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금감원은 이날 이례적으로 카드사 실적 발표와 함께 설명회를 진행했다. 금감원은 지난해 9월 상반기 카드사 실적 발표 때 감독규정 기준 순이익은 50% 이상 증가했지만, IFRS 기준 순이익은 31% 줄었다고 발표했다. 당시 IFRS 기준 결과 설명 비중을 감독규정 기준 결과보다 적게 다뤄 논란이 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합참 "북한, 대남 오물풍선 어제부터 약 600개 살포…서울·경기서 발견"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창어 6호’ 달 뒷면 착륙…‘세계 최초’ 토양 샘플 회수 눈앞
  • 의대 지방유학 '강원·호남·충청' 순으로 유리…수능 최저등급 변수
  • 1기 신도시·GTX…수도권 '대형 개발호재' 갖춘 지역 뜬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760,000
    • +0.13%
    • 이더리움
    • 5,319,000
    • +0.8%
    • 비트코인 캐시
    • 646,500
    • +1.25%
    • 리플
    • 726
    • +0%
    • 솔라나
    • 231,800
    • -0.94%
    • 에이다
    • 632
    • +1.12%
    • 이오스
    • 1,134
    • -0.09%
    • 트론
    • 157
    • +1.29%
    • 스텔라루멘
    • 149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200
    • -0.81%
    • 체인링크
    • 25,860
    • +1.02%
    • 샌드박스
    • 624
    • +2.9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