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화염병과 사법농단

입력 2018-12-04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정수천 사회경제부 기자

지난달 29일 김명수 대법원장의 출근 차량에 화염병을 던진 남모 씨가 구속됐다. 서울 서초동 대법원 청사 앞에서 1인 시위를 벌이던 남 씨는 김 대법원장의 관용차량이 들어오는 순간 차를 향해 인화물질이 든 페트병을 던져 현장에서 경찰에 체포됐다. 검찰은 28일 곧바로 남 씨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고, 법원은 다음 날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을 진행한 뒤 영장을 발부했다.

구속영장 청구부터 발부까지 모든 절차가 전광석화였다. 그간 양승태 전 대법원장 시절 자행된 ‘사법농단’ 의혹 수사를 지켜보던 입장에서 그 속도감이 더했다. 지금까지 의혹에 연루된 관계자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도 쉬이 청구되는 것을 보기 어려웠다. 검찰은 청구한 영장 중 열에 아홉은 기각됐다고 토로했었다.

지난달부터 임종헌 전 법원행정처 차장에 대한 구속영장이 발부되며 ‘윗선’으로의 수사가 본격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물론 구속된 남 씨와 사법농단 연루자들의 즉각적인 위험성과 혐의의 복잡성 등을 따져보면 상당한 차이가 있다. 특히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에 대해 사법부의 발 빠른 대처는 당연하다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이렇게나 일찍?’ 하는 생각이 머릿속에 맴도는 것은 사법부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수사 조차도 어렵게 진행되는 것을 보고 있기 때문일까.

지난달 박병대ㆍ고영한 전 대법관을 여러 차례 소환해 조사한 검찰은 3일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임 전 차장의 상급자인 이들은 사법농단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의심받는다. 두 전직 대법관의 구속 여부는 의혹의 ‘정점’인 양 전 대법원장의 수사로 이어지는 중요한 길목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더는 ‘제 식구 감싼다’는 의심의 눈초리를 받을 이유가 없다. 의혹의 실체를 규명하기 위한 사법부의 노력이 현실로 나타나길 기대해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글로벌 자산운용사, ETF로 비트코인 100만 개 확보…마운트곡스, 부채 상환 임박 外 [글로벌 코인마켓]
  • 서울고법 "최태원, 노소영에 1조3800억원 재산분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용산역 역세권에 3.7M 층고…코리빙하우스 ‘에피소드 용산 241’ 가보니[르포]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270,000
    • +0.13%
    • 이더리움
    • 5,203,000
    • -1.83%
    • 비트코인 캐시
    • 643,500
    • -0.39%
    • 리플
    • 722
    • -0.69%
    • 솔라나
    • 230,500
    • -2.74%
    • 에이다
    • 622
    • -2.05%
    • 이오스
    • 1,109
    • -1.33%
    • 트론
    • 155
    • +0.65%
    • 스텔라루멘
    • 147
    • -2%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650
    • -1.04%
    • 체인링크
    • 25,300
    • -0.2%
    • 샌드박스
    • 606
    • -3.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