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그룹 기업문화위, 발족 첫 현장 방문… 역멘토링·휴게공간 마련 등 추진

입력 2017-08-22 10: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롯데그룹이 기업문화 개선을 위해 마련한 기업문화위원회가 발족 이후 현장을 찾아 생생한 목소리를 들었다. 기업문화위는 이를 통해 역 멘토링 도입과 창의적 휴게 공간 마련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롯데는 18일 기업문화위원회가 위원회 공동 위원장인 황각규 롯데 경영혁신실 사장, 이경묵 서울대 교수를 비롯해 내·외부위원, 주니어보드 대표, 실무진 등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충주 롯데 주류 공장에서 첫 번째 정기회의를 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날 기업문화위는 그동안의 활동을 점검하고 앞으로 롯데의 변화와 혁신을 위해 추진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내부 임직원들이 롯데의 기업문화가 변화하고 있음을 피부로 체감할 수 있도록 우선 추진할 과제를 선정, 진행하기로 했다.

먼저 기업문화위는 세대 간 소통을 강화하고 문화적 가치관 차이를 극복하도록 ‘역 멘토링’ 제도를 도입할 계획이다. 역 멘토링이란 일반사원이나 후배사원이 회사 경영진, 직속상관, 선배사원들에게 멘토, 간담회, 강의 등 다양한 방식으로 신세대의 사고와 새로운 가치관을 공유해주는 제도이다. 이를 통해 경영진과 선배사원은 새로운 생각을 접하고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으며, 후배직원들은 기성 문화에 함몰되지 않고 자신의 존재감을 부각시킬 수 있다.

롯데는 구체적인 역 멘토링 진행 방안을 마련한 다음 올해 하반기 안에 주요 계열사 중심으로 시범 운영할 방침이다. 이후 평가·보완을 통해 제도를 개선한 다음 전사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 직원들의 창의적 사고를 돕고 임직원 간 소통을 활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직원들을 위한 ‘창의적인 휴게 공간’을 우선 배치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창가 자리에 직원 휴게 공간을 조성한 롯데물산 등 우수 계열사 사례를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전사에 공유하고 계열사 상황에 맞게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기업문화위는 충주 롯데 주류 제1공장을 견학해 현장 생산라인을 둘러보고 직원들과 간담회를 하는 등 현장에서 느끼는 어려움과 아이디어, 그리고 건의사항 등도 경청했다. 이들은 계열사 간 소통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 마련, M&A 기업이 더 빠르게 롯데 기업문화에 융합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 마련, 계열사 우수 복지제도 그룹 전체 도입, 현장직 처우 개선 등을 제안했다. 기업문화위는 현장에서 나온 건의사항을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수립, 시행할 방침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오늘부터 즉각 켠다…북한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싫어하는 이유 [해시태그]
  • 서울대병원 17일·의협 18일 휴진…“돈 밝히는 이기적 집단 치부 말라”
  • 전세사기에 홀로 맞서는 세입자…전세권 등기·청년 셀프 낙찰 '여전'
  • MBTI가 다르면 노는 방식도 다를까?…E와 I가 주말을 보내는 법 [Z탐사대]
  •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국회 예산 협조부터 '난항' 전망
  • 카리나 시구 확정…롯데 자이언츠 경기도 관람
  • 1~4월 부가세 수입 40조 넘어 '역대 최대'…세수 펑크에 효자 등극
  • 엔비디아 시총 ‘3조 달러’ 쾌거에…젠슨 황 세계 10위 부자 ‘눈앞’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715,000
    • -0.14%
    • 이더리움
    • 5,196,000
    • -0.21%
    • 비트코인 캐시
    • 660,500
    • -2.58%
    • 리플
    • 697
    • -0.99%
    • 솔라나
    • 224,800
    • -1.96%
    • 에이다
    • 620
    • -0.64%
    • 이오스
    • 996
    • -2.16%
    • 트론
    • 162
    • +1.89%
    • 스텔라루멘
    • 139
    • -1.42%
    • 비트코인에스브이
    • 79,500
    • -2.51%
    • 체인링크
    • 22,630
    • -1.05%
    • 샌드박스
    • 586
    • -2.9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