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인상 가속, 아시아 부채 폭탄 ‘째깍째깍’

입력 2017-04-11 16: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 가계부채 사상 최대 수준…중국, 좀비기업 급증”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20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거의 10년이 지난 지금. 아시아 각국이 빚의 늪에서 허덕이고 있다. 기업과 은행, 정부, 가계 등 모든 경제 주체가 흥청망청 부채를 쌓으면서 중국 상하이의 철근에서부터 호주 시드니의 주택 가격에 이르기까지 세계 곳곳에서 물가 거품이 팽창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가 기준금리 인상에 속도를 내면서 아시아 각국의 부채 폭탄이 터질 위기를 맞고 있다고 1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분석했다.

중국의 경기둔화, 원자재 가격과 통화 가치 변동 등에 따른 위험 노출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오는 2021년에 아시아 기업 회사채 중 만기가 돌아오는 금액이 1조 달러(약 1146조 원)에 이를 것으로 경고했다. 그 중 미국 달러화 표시 회사채가 전체의 63%, 유로화는 7%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

아시아 각국이 이에 대처할 여력은 있다. 각국 정부는 외환보유고를 늘려왔으며 리스크 헤지 방법도 과거에 비해 크게 개선됐다. 연준이 긴축 행보를 걷고 있지만 유럽중앙은행(ECB)과 일본은행(BOJ)은 대규모 통화완화정책을 지속하고 있어 그 충격을 상쇄하고 있다. 금리도 역사적인 평균보다 낮은 편이다. 그러나 아시아 국가들의 부채가 빠르게 쌓이고 있어 경각심이 커지고 있다고 통신은 지적했다. 특히 아시아는 전 세계 경제성장을 주도하기 때문에 이 지역이 위기에 빠지면 세계 경제도 다시 흔들릴 수 있다.

▲한국 가계부채와 기준금리 추이. 하얀색ㆍ오른쪽: 가계부채(단위 1000조 원) / 파란색ㆍ왼쪽: 기준금리(단위  %). 출처 블룸버그
▲한국 가계부채와 기준금리 추이. 하얀색ㆍ오른쪽: 가계부채(단위 1000조 원) / 파란색ㆍ왼쪽: 기준금리(단위 %). 출처 블룸버그

◇ 한국= 한국은 지난 수년간 저금리와 부동산 열풍을 통해 경제성장세를 지탱했지만 그만큼 후유증도 커지게 됐다고 통신은 지적했다.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는 1344조3000억 원으로 사상 최대 수준이어서 소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정부는 연준의 긴축에 우리나라 은행들도 대출금리를 올려 저소득 가구가 파산으로 몰릴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미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계부채 부담이 가장 큰 국가다. 지난 2015년 가처분 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69%로, OECD 평균 129%를 크게 웃돌았다.

▲중국 GDP 대비 총부채 비율 추이. 단위 %. 주황색: 회사채/ 녹색: 가계부채/ 황색: 은행 부채/ 하늘색: 정부 부채 포함 기타. 출처 블룸버그
▲중국 GDP 대비 총부채 비율 추이. 단위 %. 주황색: 회사채/ 녹색: 가계부채/ 황색: 은행 부채/ 하늘색: 정부 부채 포함 기타. 출처 블룸버그

◇ 중국=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부채 비율은 지난 2005년의 158%에서 지난해 258%로 높아졌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등 최고 지도부는 올해 과도한 부채를 억제해 금융시스템 안정을 유지하는 것이 정책 최우선순위라고 강조하지만 가시적인 성과는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중국에서 국영기업을 중심으로 이른바 ‘좀비기업’들이 급증하고 있다며 정부가 시급히 이들 기업의 부채 처리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은행 재무제표에 제대로 잡히지 않는 자산관리상품(WMP) 등 그림자금융이 팽창하면서 중국 금융시스템을 취약하게 만들고 있다.

◇ 일본= 정부 부채가 GDP 대비 무려 2.5배 이상인 일본은 이미 세계에서 가장 부채가 많은 국가다. 일본은 오는 2020년까지 기초재정수지(재정에서 국채에 대한 이자 지급 제외) 흑자를 달성한다는 목표가 있지만 정부마저 이를 달성하기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

다만 일본은 국채는 물론 회사채 대부분이 엔화 표시 채권이고 국채 대다수를 자국민이 소유하고 있어 해외로의 자금유출 위험은 덜하다.

◇ 인도= 신용평가사 피치는 이달 보고서에서 “인도의 GDP 대비 정부 부채 비율은 약 70%로, 국가 신용등급이 ‘BBB’인 국가들 중에서는 매우 높은 편”이라고 지적했다.

회사채도 늘어나고 있는데 특히 부실 부채가 최근 급증하고 있어 인도 정부의 근심거리가 되고 있다. 이런 부실부채가 증가하면 정부는 국영은행을 살리고자 납세자의 돈을 투입할 수밖에 없다. 피치는 인도의 이런 자본재구성 부담이 오는 2019년에 900억 달러로 커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인도 재정에서 이 부분을 위해 떼어놓은 자금은 현재 100억 달러에 불과하다.

◇ 동남아시아= 동남아시아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채 수준은 낮다. 그러나 태국과 말레이시아 등에서 회사채와 가계부채가 최근 수년간 급증해 불안요소로 떠올랐다고 통신은 전했다.

스탠다드차타드(SC)의 분석에 따르면 지난 2008년 6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8년간 말레이시아의 GDP 대비 총부채 비율은 173%에서 240%로 높아졌다. 중간소득국가인 말레이시아의 부채 비율은 현재 호주, 영국과 이탈리아 등 선진국과 맞먹는다.

한편 필리핀과 인도네시아는 금융산업이 비교적 덜 발달돼 있어 부채 문제에서는 자유롭다. 특히 인도네시아는 과거 외환위기 등에서 교훈을 얻어 엄격하게 부채를 통제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정부 재정적자가 GDP의 3%, 정부 총부채는 GDP의 60%를 넘지 못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여자친구 살해' 20대 의대생 전격 구속
  • “지연아 고맙다” 남의 사랑에 환호하고 눈치 봤던 백상예술대상 [해시태그]
  • 전 세계 41개국에 꽂은 ‘K-깃발’…해외서 번 돈 6% 불과 [K-금융, 빛과 그림자 上]
  • 김수현부터 장윤정·박명수까지…부동산 '큰손' 스타들, 성공 사례만 있나? [이슈크래커]
  • 단독 이번엔 ‘갑질캐슬’?…KT와 공사비 갈등 중인 롯데건설, 하도급사에 ‘탄원서 내라’ 지시
  • 단독 다국어 자막 탑재 '스마트글라스'…올 상반기 영화관에 도입
  • "나는 숏폼 중독"…가장 많이 보는 건 유튜브 [데이터클립]
  • 로스트아크, 신규 지역 '인디고 섬' 추가…디아블로 신규직업 출시 外 [게임톡톡]
  • 오늘의 상승종목

  • 05.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7,187,000
    • -2.26%
    • 이더리움
    • 4,186,000
    • -2.83%
    • 비트코인 캐시
    • 634,000
    • -6.21%
    • 리플
    • 727
    • -3.32%
    • 솔라나
    • 203,000
    • -6.45%
    • 에이다
    • 612
    • -3.16%
    • 이오스
    • 1,092
    • -4.21%
    • 트론
    • 172
    • +1.78%
    • 스텔라루멘
    • 151
    • -1.95%
    • 비트코인에스브이
    • 88,450
    • -2.27%
    • 체인링크
    • 19,220
    • -4.85%
    • 샌드박스
    • 595
    • -3.7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