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중기협의회장 임기 마친 김기찬 교수 “사람 키우는 기업만 지속가능 성장 이뤄”

입력 2016-08-23 10:3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람 중심의 기업가정신 확산·中企 글로벌 생태계 구축 노력

▲김기찬 가톨릭대 교수.  사진제공 세계중소기업협의회
▲김기찬 가톨릭대 교수. 사진제공 세계중소기업협의회

“눈앞의 이익만 좇으면 사람을 키울 수가 있을까요. 기업은 사람을 키워야만 지속가능한 성장을 할 수 있습니다.” 김기찬 가톨릭대 교수가 세계중소기업협의회(ICSB) 회장 역할을 마치고 학계로 돌아와 ‘사람 중심의 기업가정신’ 확산에 나서고 있다.

22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만난 김 교수는 “지난 6월 ICSB 회장직을 마치고 ICSB 소속의 사람중심기업가정신위원회장을 맡아 현재 기업가정신과 관련해 25개국 대상의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있다”면서 “조사 결과를 토대로 백서를 만들어 사람을 키우는 기업이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줄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그는 “연내 백서를 발간해 유엔(UN)에서 논문으로 발표할 예정”이라며 “사회, 종업원, 고객을 위하는 ‘기업가정신 3.0’의 시대를 만드는 데 기여하는 것이 목표”라고 언급했다.

김 교수는 ICSB 회장 재직 중이던 지난 6월 ICSB 역사상 처음으로 UN에서 세계중소기업대회를 개최했다. 이전까지는 각 나라마다 중소기업 정책을 마련했다면, 이번 대회를 통해 중소기업 문제를 현안으로 올려놓고 전 세계적으로 시너지 효과를 꾀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컸다. UN에서 열린 세계중소기업대회에선 7개국 중소기업장관회의가 마련됐고 주영섭 중소기업청장이 대표로 나서 유엔에 ‘세계 중소기업의 날’ 제정을 요청하기도 했다.

김 교수는 “이전까지는 민간조직이 UN에서 행사를 한 적도, 중소기업 문제를 다뤄본 적도 없었다”면서 “지난해 유엔이 만든 지속가능개발목표(SDG)에 중소기업이 실행자로서 역할을 해 줄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기 때문에 행사가 진행될 수 있었다”고 회상했다. 이어 “UN 기조연설 당시 한국의 역사는 기업가정신의 역사로, 그 중심에는 사람이 있다는 것을 강조했다”며 “누구를 위한 기업가정신인지가 중요한 문제인 만큼 이를 UN 총회 어젠다로 상정한 것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앞으로도 사람 중심 기업가정신 확산과 중소기업 글로벌 생태계 구축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그는 “현재 한국의 모든 정책은 갈라파고스화되어 있는데 이를 글로벌화해야 한다”면서 “중소기업 문제도 너무 공정(公正)의 문제에만 함몰될 것이 아니라 글로벌화된 시각과 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열애설·사생활 루머로 고통…실체 없는 '해외발 루머' 주의보 [이슈크래커]
  • 사내 메신저 열람…직장인들 생각은 [데이터클립]
  • 한강뷰 가치는 ‘평균+23%포인트’? 한강 조망 단지 14년 상승률 살펴보니 [한강뷰 프리미엄, 실체는?①]
  • 단독 이복현ㆍ17개 은행장 19일 회동…부동산 PFㆍ내부통제 등 현안 논의
  • 방탄소년단 진 전역 신고, 아미 품으로…뷔·제이홉·RM의 색소폰 축하 '눈길'
  • "취준생에게 월 50만 원 생활비 지원해드려요"…'서울시 청년수당'[십분청년백서]
  • 전북 부안군 규모 4.8 지진 발생…긴급 재난 문자 발송
  • 야유하는 중국팬 향한 캡틴의 '3대0 제스처'…'손흥민 도발' 웨이보서도 화제
  • 오늘의 상승종목

  • 06.1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007,000
    • +2.83%
    • 이더리움
    • 5,024,000
    • +2.45%
    • 비트코인 캐시
    • 644,000
    • +3.12%
    • 리플
    • 689
    • +2.07%
    • 솔라나
    • 220,300
    • +5.46%
    • 에이다
    • 616
    • +3.7%
    • 이오스
    • 985
    • +2.6%
    • 트론
    • 165
    • +0%
    • 스텔라루멘
    • 140
    • +2.19%
    • 비트코인에스브이
    • 75,000
    • +4.46%
    • 체인링크
    • 22,310
    • +5.99%
    • 샌드박스
    • 577
    • +3.2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