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렌트카 가격비교, 합리적 비용으로 원하는 차종 선택하자

입력 2015-01-19 16: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유류비 증가 및 보험료 등의 유지비 부담으로 인해 자동차 임대가 일반에 확산되면서 올해에도 자동차 렌트 업계가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자동차 주 구매층이었던 2-30대의 소비가 위축되고 있는데다 원하는 차종을 자유롭게 운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부각되면서 보증금과 초기 투자 부담이 적은 장기렌터카에 소비자들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또한 장기렌트카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높아지는 이유 중 자동차 구매에 필요한 신용 등급에 대한 부담도 간과할 수 없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자동차 할부 구매는 초기자본은 물론 구매자의 신용 등급에 따라 할부율이 달라지는데 반해 보증금없는 장기렌트카는 경제적인 부담이 상대적으로 덜 한데다 여타 금융상품에 비해 신용 등급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

또 신차 구매 보다 장기렌트카의 가격 경쟁력이 높게 평가되고 있다.

렌터카전문업체 다나와에 따르면 신차구매와 오토리스 장기렌트 3년간의 비용을 계산한 결과 중형차 기준(LF쏘나타, K5, SM5, 크루즈 등) 신차구매나 오토리스보다 장기렌터카를 이용하는 것이 더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관계자는 “유지비 부담으로 인해 휘발유 차량보다 LPG 차량이 여전히 인기를 얻고 있다”면서 “최근 인터넷 장기렌트카 가격비교 사이트 이용 고객이 많아져 편리하게 전 차종 가격비교를 진행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요즘 장기렌트카 인기 차종으로 국산차의 경우 현대자동차에서 생산하는 그랜저, LF쏘나타, 투싼ix, 아반떼, 제네시스, 기아자동차 K3, K5, K7, 스포티지R, 올뉴카니발, 소렌토 등이 인기를 얻고 있으며 수입차는 BMW520d, 벤츠c220 아방가르드, 티구안, 아우디a6, 파사트 등이 꾸준한 수요를 보인다”고 밝혔다.

장기렌터카를 고려하고 있다면 렌트카 업체별로 가격 및 기타 조건에 차이가 있으므로 차량옵션, 주행거리 및 중도 반납 시 수수료, 인수∙반납 시 차이점 등을 꼼꼼히 비교하는 것이 권장된다.

한편 장기렌트카 가격비교 및 관련 정보는 렌터카다나와(www.rentcardanawa.com)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장 주문'인데, 수수료 내라고요?"…배달음식값 더 오를까 '노심초사' [이슈크래커]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르포] "등잔 밑이 어둡다"…서울 한복판서 코인 OTC 성행
  • 단독 영업비밀인데…‘원자로 설계도면’ 무단 유출 한전기술 직원 적발
  • 예상보다 더한 법인세 급감…올해도 '세수펑크' 불가피
  • [오늘의 뉴욕증시 무버] 엔비디아, 시총 3조 달러 첫 돌파…애플 추월
  • 유튜브서 봤던 그 게임 '라스트워: 서바이벌', 좀비보다 사람이 더 무섭네? [mG픽]
  • 한화-KT전 '끝내기 벤치클리어링', 도대체 무슨 일?…4년 전 악연도 화제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390,000
    • +0.25%
    • 이더리움
    • 5,336,000
    • +0.95%
    • 비트코인 캐시
    • 691,500
    • +4.22%
    • 리플
    • 727
    • +0%
    • 솔라나
    • 240,000
    • +0.29%
    • 에이다
    • 637
    • -0.78%
    • 이오스
    • 1,112
    • -0.89%
    • 트론
    • 159
    • +0.63%
    • 스텔라루멘
    • 14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8,250
    • +0.91%
    • 체인링크
    • 24,530
    • -0.53%
    • 샌드박스
    • 650
    • +0.3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