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수신료 인상 위해 광고 폐지 선언… 코바코 ‘경보’

입력 2014-01-20 10: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공영 미디어렙사인 한국방송광고공사(이하 코바코)의 미래 먹거리에 경보가 울렸다.

20일 광고업계에 따르면 지난 15일 KBS가 수신료 인상을 조건으로 광고 전면 폐지를 선언함에 따라 코바코 매출이 급감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현재 코바코 광고판매대행 매출의 45% 가량을 KBS가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해당 안을 방송통신위원회가 의결하면 코바코 광고 매출 절반이 ‘공중분해’ 되는 셈이다. 여기에 MBC까지 자체 미디어렙을 출범시키기 위한 소송을 준비하고 있어 코바코는 진퇴양난에 빠졌다.

한국 PR학회장 김병희 서원대 광고홍보학과 교수는 “속단하긴 이르지만, KBS가 광고를 폐지 수순을 밟게 되면 코바코에게는 조직해체 수준의 타격이 갈 것”이라며 “사업 다각화를 통한 매출 창출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코바코는 이를대비하기 위해 IPTV 광고와 모바일 광고를 비롯, 온라인 광고와 정부 광고 분야까지 진출을 꾀하고 있다. 코바코가 가장 공을 들이고 있는 분야는 온라인 광고와 모바일 광고 분야다. 지상파 중간광고가 허용되지 않는 이상 방송 광고의 매출 규모는 늘기 힘들지만, 온라인 광고시장은 최근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코바코를 산하기관으로 두고 있는 방통위는 지난달 10일 발표한 ‘방송산업발전계획’을 통해 장기적으로 코바코의 온라인 광고시장 진출을 허용한다는 방침을 내놓았다.

코바코의 온라인광고 진출 움직임에 대해 해당 업계는 크게 반발하고 있다. 온라인 광고협회 신원수 상무는 “온라인 광고를 집행할 기술이 없는 코바코로서는 온라인 광고 대행업체를 인수해 온라인 광고 업계에 진출하는 방법이 가장 유력한데, 이는 중간에서 수수료만 가로채는 것과 다를 바 없다”며 “10여개의 대형 민간 광고 대행사와 수백개의 소규모 업체가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있는 온라인 광고 시장을 혼탁하게 만들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코바코는 한국언론재단이 독점 대행하고 있는 정부광고 중 방송광고를 분리해 코바코가 대행하는 방안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광고로 발생하는 매출은 KBS와 맞먹는다. 민주당 최민희 의원은 지난달 26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미디어렙법개정안’을 민주당 의원 17명과 공동 발의했다.

그러나 법안 통과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익명을 요구한 방송업계 고위 관계자는 “명분도 실리도 없는 법안인 만큼 통과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며 “코바코의 매출 창출이나 광고 형평성을 위한 법안이 아니라 정부광고를 독점하고 있는 한국언론재단을 흠집 내는 것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코바코 관계자는 “코바코는 공기업으로서 정부 방침에 따를 수밖에 없다”며 “정부 방침과 법 테두리 안에서 사업 다각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상대 팬이 물병 투척…급소 맞은 기성용
  • '프로야구 우천취소' 더블헤더 경기, 두 번 다 관람 가능?
  • 애플, 아이패드 광고 ‘예술·창작모욕’ 논란에 사과
  • BTS 정국부터 OJ 심슨까지…“억” 소리 나는 車경매
  • 기업대출 ‘출혈경쟁’ 우려?...은행들 믿는 구석 있었네
  • 1조 원 날린 방시혁…그래도 엔터 주식부자 1위 [데이터클립]
  • 현대차, 국내 최초 ‘전기차 레이스 경기’ 개최한다
  • 덩치는 ‘세계 7위’인데…해외문턱 못 넘는 ‘우물 안 韓보험’
  • 오늘의 상승종목

  • 05.1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988,000
    • +0.46%
    • 이더리움
    • 4,117,000
    • +0.46%
    • 비트코인 캐시
    • 608,000
    • +0.5%
    • 리플
    • 713
    • +0%
    • 솔라나
    • 205,700
    • -1.11%
    • 에이다
    • 620
    • -2.05%
    • 이오스
    • 1,102
    • -1.25%
    • 트론
    • 178
    • -1.11%
    • 스텔라루멘
    • 150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300
    • +0.29%
    • 체인링크
    • 18,950
    • -1.51%
    • 샌드박스
    • 598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