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디 얼라이언스’ 서비스 네트워크 협력 계획 발표

입력 2020-01-16 17: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고효율 컨테이너선 280척 배치…운항 횟수 증대, 운항 시간 단축, 기항지 확대

▲지난해 7월 1일 현대상선은 하팍로이드(독일), ONE(일본) 및 양밍(대만)이 회원사로 있는 ‘디 얼라이언스’에 정식 회원으로 가입했다.(좌로부터 Bronson Hsieh 양밍 회장 겸 사장, 배재훈 현대상선 사장,  문성혁 해수부장관, Rolf Habben Jansen 하팍로이드 사장, Jeremy Nixon ONE 사장).  (사진제공=현대상선)
▲지난해 7월 1일 현대상선은 하팍로이드(독일), ONE(일본) 및 양밍(대만)이 회원사로 있는 ‘디 얼라이언스’에 정식 회원으로 가입했다.(좌로부터 Bronson Hsieh 양밍 회장 겸 사장, 배재훈 현대상선 사장, 문성혁 해수부장관, Rolf Habben Jansen 하팍로이드 사장, Jeremy Nixon ONE 사장). (사진제공=현대상선)

현대상선이 가입한 '디 얼라이언스(THE Alliance)'가 서비스 협력 계획을 발표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연방 해사위원회(FMC)는 현대상선의 디 얼라이언스 가입을 승인했다. 이에 따라 현대상선은 하팍로이드(독일), ONE(일본), 양밍(대만) 등 디 얼라이언스’ 회원사와 함께 4월 1일부터 신규 서비스를 하게 됐다.

디 얼라이언스는 포괄적인 서비스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이번에 새롭게 선보이는 서비스를 통해 특히 동남아시아 지역의 운항 횟수 증대, 신규 기항지 추가, 운항 시간 단축 등을 기대하고 있다.

아시아를 비롯해 유럽, 지중해, 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중동, 홍해, 인도 등 전 세계 78개 항만에 기항하며, 총 33개의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먼저 기존 아시아-유럽 노선 FE5(Far East Europe 5)와 태평양 횡단 노선 PS7(Pacific South 7)은 새로운 '펜듈럼 방식'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펜듈럼이란 기존에 있던 각각의 노선을 한 노선처럼 연결해서 운항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 노선에 1만4000TEU급 컨테이너선 18척을 투입해 효율적인 운항을 할 방침이다.

새로운 펜듈럼 서비스가 운영되면 동남아시아와 캘리포니아 남부의 주요 항만을 연결하는 노선은 PS7, PS3, FP1(Far East Europe and Transpacific 1) 등 세 개로 늘어난다.

특히 PS3 기항지에는 베트남 하이퐁이 추가돼 고객들의 선택 폭이 넓어질 것으로 보인다.

동남아시아 지역 외에도 태평양 횡단 노선 PS8을 새롭게 선보인다.

기항지에 인천을 포함한 부산, 광양, 상해 등 한국과 중국의 주요 항이 집중되어 있으며, 4월 1일에 개시할 예정이다.

새롭게 개편된 아시아-북유럽 노선 FE2와 FE4에는 가장 최근에 건조된 2만TEU급 이상의 초대형 선박을 배치해 규모의 경제를 달성함은 물론, 친환경적으로 운항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디 얼라이언스는 "노선 확대, 운항 횟수 증대 등을 통해 고객들에게 더 나은 선택을 제공할 것"이라며 "앞으로 동서항로에 획기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해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금감원, 가상자산거래소에 감독분담금 청구한다
  • "중국이 중국했다" 손흥민·이강인 향한 좁은 속내…합성사진 논란
  • "올여름 폭염·폭우 지속될 것…미리 대비해야"
  • 지하철서 잠든 이준석 사진 확산…출퇴근 목격담도
  • '밀양 사건' 피해자 "함께 분노해주셔서 감사…반짝하고 끝나지 않길"
  • 고유정·이은해·엄인숙·전현주…‘그녀가 죽였다’ 숨겨진 이야기 [해시태그]
  • “고객의 시간을 점유하라”...쉬지 않고 뻗어나가는 ‘뉴월드’ [정용진號 출범 100일]
  • 뇌전증 전문 교수들, 집단휴진 불참…“환자 위기 빠트리는 행동 삼가야”
  • 오늘의 상승종목

  • 06.14 12:4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505,000
    • -0.6%
    • 이더리움
    • 4,946,000
    • +0.22%
    • 비트코인 캐시
    • 613,500
    • -2.62%
    • 리플
    • 678
    • -1.17%
    • 솔라나
    • 208,900
    • -2.15%
    • 에이다
    • 596
    • -1.97%
    • 이오스
    • 956
    • -2.05%
    • 트론
    • 165
    • +0%
    • 스텔라루멘
    • 139
    • -0.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72,000
    • -1.23%
    • 체인링크
    • 21,620
    • -0.83%
    • 샌드박스
    • 556
    • -1.5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