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코스피, 보합권 등락 거듭 상승 마감…2458.96

입력 2023-02-21 15:5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스피가 하락 갭을 메우며 2450포인트대에서 마감했다.

21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84포인트(0.16%) 오른 2458.96으로 장을 마쳤다.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345억 원, 194억 원 순매수했다. 기관은 922억 원 순매도했다.

양대지수는 보합권 등락을 거듭한 뒤 상승 전환했다. 다만, 전일 미국 증시 휴장에 따라 방향성 부재로 외국인 매수세는 제한적이었다. FOMC 회의록 발표와 한국 금통위, PCE물가지수 발표 등에 대한 관망세는 지속했다.

철강, 기계, 화학 등 시크리컬 업종의 강세가 지속했다. 중국의 양회를 앞두고 인프라 투자 확대 기대감이 커졌다. 철강 수요 회복과 더불어 소비 회복에 따른 화학원료 수출 증가 전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코스피 업종별로는 건설업(3.53%), 비금속광물(2.52%), 화학(1.82%), 철강금속(1.80%), 증권(1.36%) 등이 오름세였다. 의료정밀(-4.35%), 섬유의복(-1.39%), 의약품(-0.80%) 등은 내림세였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에서는 롯데케미칼(7.38%), 현대제철(6.83%), 대우조선해양(5.91%), 고려아연(5.35%), 메리츠증권(5.00%), 팬오션(4.65%), 금호석유(4.53%), 현대건설(3.99%), 포스코인터내셔널(3.97%) 등이 강세였다.

에스디바이오센서(-5.61%), 아모레G(-3.50%), 한미약품(-3.09%) 등은 약세였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53포인트(0.57%) 오른 793.42를 나타냈다. 개인은 492억 원 순매수했고,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38억 원, 297억 원 순매도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에서는 셀바스AI(13.48%), 에코프로비엠(9.16%), 엘앤에프(8.44%), 엔켐(6.42%), 제이오(6.40%), 위메이드맥스(5.76%), 천보(5.70%), 에코프로(5.30%), 박셀바이오(5.25%), 나노신소재(5.20%), 넥슨게임즈(5.11%) 등이 강세였다.

카나리아바이오(-15.98%), 바이오니아(-13.11%), 티씨케이(-5.84%), NICE평가정보(-4.93%), 다우데이타(-4.92%), 씨젠(-4.38%), 오스코텍(-4.26%) 등은 약세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열애설·사생활 루머로 고통…실체 없는 '해외발 루머' 주의보 [이슈크래커]
  • 사내 메신저 열람…직장인들 생각은 [데이터클립]
  • 한강뷰 가치는 ‘평균+23%포인트’? 한강 조망 단지 14년 상승률 살펴보니 [한강뷰 프리미엄, 실체는?①]
  • 단독 이복현ㆍ17개 은행장 19일 회동…부동산 PFㆍ내부통제 등 현안 논의
  • 방탄소년단 진 전역 신고, 아미 품으로…뷔·제이홉·RM의 색소폰 축하 '눈길'
  • "취준생에게 월 50만 원 생활비 지원해드려요"…'서울시 청년수당'[십분청년백서]
  • 전북 부안군 규모 4.8 지진 발생…긴급 재난 문자 발송
  • 야유하는 중국팬 향한 캡틴의 '3대0 제스처'…'손흥민 도발' 웨이보서도 화제
  • 오늘의 상승종목

  • 06.1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750,000
    • +0.68%
    • 이더리움
    • 4,997,000
    • +1.3%
    • 비트코인 캐시
    • 639,000
    • +1.11%
    • 리플
    • 688
    • +1.47%
    • 솔라나
    • 217,500
    • +3.52%
    • 에이다
    • 614
    • +3.02%
    • 이오스
    • 981
    • +1.66%
    • 트론
    • 163
    • -1.21%
    • 스텔라루멘
    • 141
    • +2.92%
    • 비트코인에스브이
    • 74,200
    • +2.84%
    • 체인링크
    • 22,360
    • +5.37%
    • 샌드박스
    • 576
    • +3.0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