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코스피, 상승 출발...장 초반 3020선

입력 2021-10-29 09: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코스피가 장 초반 3020선을 나타내고 있다. 증시 전문가는 간밤의 미국 증시가 조 바이든 미 행정부의 사회지출 법안 통과 기대감에 상승 마감했다며 국내 증시의 상승세를 예상했다.

29일 오전 9시 13분 현재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0.35%(10.67포인트) 오른 3020.22를 나타내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0.40%(12.18포인트) 오른 3021.73으로 장을 시작해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코스피를 1017억 원, 176억 원 팔아치우고 있지만 개인이 1181억 원 순매수하며 지수를 방어하고 있다.

시가총액 상위 15위권 종목 중 삼성전자(0.57%), LG화학(0.24%), 삼성바이오로직스(0.90%), 카카오(0.40%), 현대차(0.71%), 기아(1.05%), 셀트리온(0.46%), 포스코(0.33%), KB금융(0.69%) 등이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반면 네이버(-0.48%), 삼성SDI(-0.31%), 카카오뱅크(-1.86%), 현대모비스(-0.38%) 등은 하락세를 기록 중이고 SK하이닉스는 보합권에 머물러 있다.

업종별로 전자제품(4.47%), 창업투자(3.15%), 조선(2.84%), 항공화물운송ㆍ물류(1.28%), 가구(1.13%) 등이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반면 가스유틸리티(-1.36%), 포장재(-0.75%), 전자장비ㆍ기기(-0.73%), 우주항공ㆍ국방(-0.43%), 디스플레이 패널(-0.37%) 등이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전일 국내 증시는 개별 종목 장세가 뚜렷했다"며 "삼성전자의 3분기 호실적 발표에 따라 SK하이닉스 및 코스닥 반도체 관련주 투자심리를 회복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간밤의 미국 증시는 여전히 견고한 기업들의 실적과 조 바이든 행정부의 사회지출 법안 통과 기대 심리가 높아지자 상승 폭을 확대했다"며 "이는 국내 증시에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같은 시각 코스닥은 전일 대비 0.28%(2.77포인트) 오른 1002.90으로 나타났다. 개인은 코스닥을 891억 원 사들이고 있고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454억 원, 337억 원을 팔아치우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르포] 일산호수공원·GTX·일자리 '3박자' 갖춘 고양장항지구, 대기수요 몰릴까?
  • '최강야구 시즌3' 중2 투수 유희관? 칼제구로 서울고 타선 묶어…미스터제로 장원삼 등판
  • 밀양 성폭행 가해자가 일했던 청도 식당, 문 닫은 이유는?
  • 중국이 공개한 푸바오 최근 영상, 알고보니 재탕?
  • 1000개 훌쩍 넘긴 K-편의점, ‘한국식’으로 홀렸다 [K-유통 아시아 장악]
  • 오늘 의대 증원 후 첫 수능 모평...'N수생' 역대 최다
  • 요즘 20대 뭐하나 봤더니…"합정가서 마라탕 먹고 놀아요" [데이터클립]
  • "유튜브에 유저 다 뺏길라" …'방치형 게임'에 눈돌린 게임업계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150,000
    • +1%
    • 이더리움
    • 5,263,000
    • -0.87%
    • 비트코인 캐시
    • 649,000
    • +1.01%
    • 리플
    • 726
    • +0.83%
    • 솔라나
    • 230,400
    • +0.52%
    • 에이다
    • 639
    • +1.91%
    • 이오스
    • 1,121
    • +0%
    • 트론
    • 158
    • -2.47%
    • 스텔라루멘
    • 147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750
    • +1.12%
    • 체인링크
    • 24,530
    • -3.77%
    • 샌드박스
    • 634
    • +3.5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