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시장도 움찔했던 북한 리스크..지난해 관련기사 100건당 원화 0.1% 절하

입력 2018-03-22 15:30 수정 2018-03-23 07:5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3차 핵실험 당시 15분간 절하됐던 원화, 6차 핵실험땐 10배 긴 2시간30분간 절하

지난해 북한 핵실험과 미사일발사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고조되면서 6년여만에 환율시장을 긴장시켰던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
(한국은행)
22일 박철범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와 박수연 한국은행 국제금융연구팀 조사역이 공동 발표한 ‘북한 지정학적 리스크와 원·달러 환율 실증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 지정학적 리스크가 고조되면서 전쟁가능성까지 우려됐던 지난해 8월 ‘북한 군사도발’, ‘북한 핵실험’, ‘북한 미사일’ 등 북한 정치·군사 행동 관련내용을 다룬 기사 100건당 원화가치는 0.1% 정도 절하(원·달러 환율 상승)됐다. 특히 6차 핵실험 후에는 핵실험 당일 원화가치가 2시간30분 가량 절하됐던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그 이전기간인 2011년 9월부터 2017년 7월 사이 북한 핵실험이나 미사일발사 소식에도 되레 0.1% 절상됐던 것과는 정반대 현상이다. 또 3차 핵실험이 있었던 2013년엔 핵실험 당일 원화가 15분간 절하됐던 것과 비교해서는 10배나 긴 시간동안 환율이 반응한 셈이다. 북한 핵실험 초기인 2009년 2차 핵실험 당일 원화가 50분간 절하된 것과 비교해서도 3배나 길었다.

다만 북한 핵실험 초기인 2008년 3월부터 2009년 7월까지는 북한 군사도발을 다룬 기사 100건당 원화는 0.5% 정도 절하됐었다.

이와 관련해 한은 관계자는 “북한 핵실험이 여러 차례 거듭되는 동안 외환시장에서도 학습효과가 발생하면서 원·달러 변동폭이 점차 축소되는 경향이 있었다”며 “다만 지난해 북한 지정학적 리스크가 전쟁 발발 가능성까지 우려되면서 원화 환율 하락폭(절하)이 특히 컸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모형 설정 방식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는 만큼 수치를 일반화해선 안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또다른 특징은 과거 북한 미사일 발사 관련 소식에 더 크게 반응했던 원화가치가 지난해엔 북한 핵실험 관련 소식에 더 크게 반응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한은 관계자는 “과거에 비해 북한 핵실험을 다룬 기사 수가 많아진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하이브 뒤늦은 대처에…아미 근조화환·단월드 챌린지까지 [해시태그]
  • '선별적 대화'…의사협회 고립 심화 우려
  • K-치킨 이어 ‘K-식탁 왕좌’ 위한 베이스캠프…하림 푸드로드 [르포]
  • 삼성-LG, HVAC ‘대격돌’…누가 M&A로 판세 흔들까
  • 또래보다 작은 우리 아이, 저신장증? [튼튼 아이 성장③]
  • “이스라엘군, 라파 공격 앞두고 주민들에 대피령”
  • 20년 뒤 생산가능인구 1000만 명 감소…인구소멸 위기 가속화
  • '리버풀전 참패' 토트넘 챔스 복귀 물 건너갔나…빛바랜 손흥민 대기록 'PL 300경기 120골'
  • 오늘의 상승종목

  • 05.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0,226,000
    • +0.99%
    • 이더리움
    • 4,464,000
    • +2.39%
    • 비트코인 캐시
    • 664,000
    • +2.39%
    • 리플
    • 752
    • +1.08%
    • 솔라나
    • 208,500
    • +2.01%
    • 에이다
    • 650
    • +1.25%
    • 이오스
    • 1,169
    • +2.54%
    • 트론
    • 171
    • +0%
    • 스텔라루멘
    • 157
    • +1.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91,650
    • +0.99%
    • 체인링크
    • 20,590
    • +2.8%
    • 샌드박스
    • 640
    • +2.2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