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 中企 프랫폼 인재·융합 이뤄져야”

입력 2013-03-26 19:5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새 정부가 화두로 내건 창조경제를 일궈내기 위해 중소기업 플랫폼 구축에 인재, 기술·아이디어 융합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김기찬 카톨릭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26일 국회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개최한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와 중소기업의 미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창조경제와 중소기업의 역할-창조경제형 기업 생태계 모색’을 발표했다.

김 교수는 “박근혜 대통령이 창조경제의 플랫포머라면 각 부처는 서로 벽을 허물고 생태계 창조의 축을 맡아야 한다”며 “경제민주화를 목표 하에 창조경제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공정한 경쟁과 기업가 정신문화가 형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시스템 개선보다 사람 중심의 창조경제를 실현해 열린 해외 인재를 등용에 나서야하고 융합과 열린 혁신의 그라운드를 조성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인재의 경우 기업가 창업, 창의, 열정을 중시하고, 융합 시스템은 아이디어와 콘텐츠를 산업으로 성장시킬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김 교수는 창조경제형 중소기업정책 방향으로 글로벌화, 신제품 발굴, 중견기업으로 성장을 꼽았다.

그는 “지난 10년간 중소기업이 성장동력이 안된 가장 아쉬운 정책은 중소기업의 글로벌화 정책”이라며 “신기술·신제품이 없는 전시회는 성과를 기대하기 곤란한 만큼 해외 전시문화도 신중히 참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창조경제의 중소기업은 연구개발(R&D)로 신제품에 성공하는 기업 만들기로 방향을 볼 수 있다”며 “과거 베끼는 시대에서 이제 베끼면 죽는 시대, 갑이 아이디어를 가로채서 문제가 된 시대에서 을의 아이디어가 존중받는 시대로 벤처의 가능성이 있고 벤처생태계 정책이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중소기업의 중견기업 성장에 대해선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으로 성장하는 길은 신제품을 개발해 국내에서 팔고 해외에서 다시 팔아야 생산성, 수익성이 개선되면서 가능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김 교수는 중소기업 진흥을 위해선 중소기업을 전문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융투입·지원형으로 금융지원을 통해 한계기업을 정상기업으로, 타깃시장을 기반으로 하는 중소기업을 위해선 틈새시장을 창조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중소기업의 진흥을 위해서 기술을 통한 시장 개척, 기술기업을 시장기업으로 변화해야 하며 요소투입식 중소기업 진흥을 혁신 주도형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법정상속분 ‘유류분’ 47년만에 손질 불가피…헌재, 입법 개선 명령
  • 민희진 "하이브, 사람 이렇게 담그는구나…날 살린 건 뉴진스"
  • 2024 호텔 망고빙수 가격 총 정리 [그래픽 스토리]
  • "KB금융, 홍콩 ELS 보상 비용 8630억…비용 제외 시 호실적"
  • "아일릿, 뉴진스 '이미지' 베꼈다?"…민희진 이례적 주장, 업계 판단 어떨까 [이슈크래커]
  • "마운트곡스發 매물 쏟아진다"…비트코인, 나스닥 하락·ETF 매도 겹치며 '먹구름' [Bit코인]
  • 육아휴직하면 끝?…남은 직원들 확실한 보상ㆍ배려해야 [인구절벽 정책제언 ③-1]
  • "8000원에 입장했더니 1500만 원 혜택"…프로야구 기념구 이모저모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26 11:4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549,000
    • -0.77%
    • 이더리움
    • 4,527,000
    • -1.11%
    • 비트코인 캐시
    • 684,500
    • -1.44%
    • 리플
    • 755
    • -1.05%
    • 솔라나
    • 207,000
    • -2.4%
    • 에이다
    • 677
    • -1.88%
    • 이오스
    • 1,169
    • -11.77%
    • 트론
    • 168
    • +1.2%
    • 스텔라루멘
    • 164
    • -1.2%
    • 비트코인에스브이
    • 94,350
    • -4.21%
    • 체인링크
    • 21,010
    • -0.8%
    • 샌드박스
    • 662
    • -1.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