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쪼그라드는 공모펀드와 국민자산 증대

입력 2019-05-02 17: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나은 자본시장1부 기자

“펀드는 재미없잖아.”

‘투자하세요?’라는 주변인의 질문에 ‘펀드’라고 답하자 돌아온 말이었다. 내심 특정 종목을 짚어주기 바라고 던졌던 질문에 종목 대신 펀드에 투자한다고 답했더니 곧바로 ‘수익률 탓’으로 이어진다. 코스피나 코스닥 지수가 하락하면 펀드 수익률도 비슷한 속도로 나빠지는데, 수익률이 플러스로 회복되는 것은 하락하는 속도보다 더디다는 지적도 함께였다.

최근 자산운용 시장이 점점 사모펀드 위주로 기울어진 채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최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내 전체 펀드 설정 금액이 2014년 말(377조 원) 대비 174조 원 증가했는데, 이 중 92%의 증가분(160조 원)이 사모펀드로 흘러 들어갔다. 공모펀드에 유입된 자금은 6.9%에 그쳤다. 이렇다 보니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사모펀드와 공모펀드 비중은 2014년 말 4대 6에서, 지난해 말 6대 4로 역전됐다. 공모펀드의 입지가 그만큼 쪼그라들었다는 이야기다.

사모펀드는 소수의 투자자가 모은 돈을 운용하는 펀드를 말한다. 운용도 투자자 모집도 대중을 상대로 공개적으로 하는 공모펀드와는 시작부터 다르다. 공모펀드가 ‘중산층의 재테크’ 수단으로 손꼽혔던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2008년 금융위기 등 위기 때마다 펀드 수익률이 출렁거리는 사이 공모펀드의 성장도 멈췄다.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입지도 좁아지다 보니 이 펀드를 굴리는 인재들은 ‘머리 좀 컸다’ 싶으면 사모펀드로 이탈했고, 인재 이탈은 수익률 저하로 이어지면서 결국 악순환이 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최근 금융투자 업계에서는 이번 정부에 거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모험자본 공급이라는 이유로 사모펀드 규제개편안이 나왔고, 벤처·중소기업 활성화를 이유로 코스닥벤처펀드라는 정책펀드가 출시되는 등 정책적 지원과 개선책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 하지만 정작 ‘국민 자산 증대’라는 자본시장의 기능을 유도하는 대책은 뚜렷하지 않다. 펀드의 손익통산과 이월공제 등의 방안이 거론되고 있지만, 공모펀드 활성화를 위해서는 장기 투자를 유도할 수 있는 세제 혜택이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개인이 적은 돈으로도 대기업의 주주가 될 수 있는 것이 펀드다. 그 투자가 개인의 자산 증대와 기업의 자금 조달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게 공모펀드다. 정부가 공모펀드의 균형 있는 성장을 팔을 걷어붙여 유도해야 하는 이유기도 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네이버 “지분매각 포함 모든 가능성 열고 소프트뱅크와 협의 중”
  • 투명 랩 감고 길거리 걸었다…명품 브랜드들의 못말리는(?) 행보 [솔드아웃]
  • 애플, 아이패드 광고 ‘예술·창작모욕’ 논란에 사과
  • 긍정적 사고 뛰어넘은 '원영적 사고', 대척점에 선 '희진적 사고' [요즘, 이거]
  • 기업대출 ‘출혈경쟁’ 우려?...은행들 믿는 구석 있었네
  • 1조 원 날린 방시혁…그래도 엔터 주식부자 1위 [데이터클립]
  • 현대차, 국내 최초 ‘전기차 레이스 경기’ 개최한다
  • 덩치는 ‘세계 7위’인데…해외문턱 못 넘는 ‘우물 안 韓보험’
  • 오늘의 상승종목

  • 05.1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7,930,000
    • +2.67%
    • 이더리움
    • 4,219,000
    • +1.35%
    • 비트코인 캐시
    • 626,000
    • +0.08%
    • 리플
    • 717
    • -0.14%
    • 솔라나
    • 213,700
    • +6.69%
    • 에이다
    • 647
    • +2.37%
    • 이오스
    • 1,154
    • +2.67%
    • 트론
    • 174
    • -1.14%
    • 스텔라루멘
    • 152
    • +2.01%
    • 비트코인에스브이
    • 90,400
    • +2.79%
    • 체인링크
    • 19,840
    • +1.33%
    • 샌드박스
    • 619
    • +2.6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