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통화기금(IMF)는 이달 22일 발표한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 보고서에서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를 3만4642달러로 추정했다. 작년보다 4.1% 감소한 수치다. 이는 IMF 기준으로 봤을 때 2022년 3만4822달러도 밑도는 수치다.
IMF는 한국의 1인당 GDP가 2029년에 4만341달러로 4만 달러선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했다. 작년 10월 보고서에서 4만 달러 돌파 시점을 2027년(4만1031달러)으로 예상한 것과 비교하면 2년 늦춰진 것이다.
대만과 비교했을 때 내년부터 1인당 GDP는 뒤쳐질 것으로 전망했다. IMF는 대만의 1인당 GDP가 올해 3만4426달러, 내년 3만6319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대만도 4만 달러 달성 시점을 2029년(4만385달러)으로 예상했다. 다만, 2030년에는 한국(4만1892달러)이 대만(4만1244달러)을 다시 앞설 것으로 내다봤다.
성장률 전망치도 대만이 앞설 것으로 예상했다. IMF는 올해와 내년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을 각각 1.0%, 1.4%로 전망했다. 이후 2027년에 2.1%로 다시 2%대로 올라갔다가 △2028년 2.1% △2029년 1.9% △2030년 1.8% 등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관련 뉴스
IMF는 대만이 올해 2.9%, 내년은 2.5%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했다. 일본은 올해와 내년 모두 0.6%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IMF는 우리나라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0%에서 1.0%로 하향 조정했다. 한국은행은 다음달 29일 통화정책방향을 결정하는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가 열리는 날 수정경제전망을 발표한다. 현재 한은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1.5%, 내년을 1.8%로 추정하고 있다. 올해 분기별로는 전기대비 기준으로 △1분기 0.2% △2분기 0.8% △3분기 0.7% △4분기 0.5%로 각각 전망했다. 1분기 성장률이 당초 예상을 훨씬 밑도는 마이너스(-) 0.2%를 기록한 만큼 연간 성장률 조정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씨티는 우리나라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0.8%에서 0.6%로, JP모건은 0.7%에서 0.5%로 각각 하향 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