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고교서 특수교육 학생 흉기 난동… 교장 등 6명 부상 [종합]

입력 2025-04-28 11: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8일 학생 흉기 난동이 발생한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소방 당국 등이 사고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 (연합뉴스)
▲28일 학생 흉기 난동이 발생한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소방 당국 등이 사고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 (연합뉴스)

충북 청주시 흥덕구 소재의 한 고등학교 교실에서 특수교육대상 학생 1명이 흉기를 휘둘러 6명이 다치는 사건이 발생했다.

28일 교육 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 36분께 청주의 한 고등학교 교실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학생 A 모 군이 흉기로 난동을 벌여 교사 등 6명이 중경상을 입고 병원으로 이송됐다.

이 사고로 교장과 환경실무사, 주무관 등 학교 관계자들이 가슴과 복부, 등 등에 자상을 입고 인근 병원으로 이송돼 치료를 받고 있다. 이들은 모두 중상이지만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A 군을 포함한 3명이 경상을 입고 병원 이송을 기다리고 있다. A 군은 범행 직후 인근 공원 저수지에 뛰어들었다가 구조됐다.

해당 학생은 일반학급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특수교육대상자인 것으로 파악됐다.

소방은 신고 접수 직후 해당 학교와 A 군이 뛰어든 저수지 등에 장비 22대와 인력 61명을 파견해 구조작업에 나섰다. 경찰은 정확한 사건 경위를 파악하고 있다.

충북교육청과 교육부도 사고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

충북도교육청 관계자는 “현재 해당 학교 교감 주재로 긴급회의를 진행 중이며, 가해 학생이 어떤 연유로 난동을 부렸는지도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충북교육청에서 현장조사를 나가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충북교육청에서 오늘 중으로 관련 브리핑을 할 예정이다. 파악되는 대로 알려주겠다"면서 "관련 대책 등 매뉴얼은 마련되면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사건은 특수학급 소속 학생 관계됐다는 점에서 과거 유사한 사례들과 비교되고 있다.

2023년 전국특수교사노조에서 특수교사 295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고의성은 없지만 본인이나 상대방을 해칠 수 있는 장애학생의 ‘도전행동’으로 다친 경험이 있다고 답한 교사의 비율은 89%에 달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손흥민·황희찬·김민재…유럽서 빛나는 한국 축구 기둥들의 최애 차량은 [셀럽의카]
  • 떠돌이 NC의 임시 홈구장은 롯데의 세컨하우스?...울산 문수야구장과의 두번째 인연 [해시태그]
  • [종합] 새 교황으로 중도파 레오 14세 선출⋯사상 첫 미국 출신
  • “국채보다 회사채”…고금리로 몰려간 채권개미
  • 관세 전 수요 끝물…미국 車 판매 13만대 ‘뚝’
  • 치매·요양보험 쏟아진다…맞춤형 상품으로 ‘눈길’ [그레이트 시니어下]
  • 중위권서 맞닥뜨린 KIAㆍSSG, 외인 2선발 출격 [프로야구 9일 경기 일정]
  • SKT '위약금 면제' 법률 검토, 6월 말 가능…"조사단 결과 나와야"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489,000
    • +4.02%
    • 이더리움
    • 3,236,000
    • +20.03%
    • 비트코인 캐시
    • 594,000
    • +0.51%
    • 리플
    • 3,289
    • +6.65%
    • 솔라나
    • 231,400
    • +8.49%
    • 에이다
    • 1,102
    • +10.42%
    • 이오스
    • 1,200
    • +2.74%
    • 트론
    • 360
    • +2.27%
    • 스텔라루멘
    • 417
    • +9.1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350
    • +5.81%
    • 체인링크
    • 22,400
    • +8.79%
    • 샌드박스
    • 459
    • +12.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