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어유, 중국 서비스 런칭이 주는 기대감…목표가 상향

입력 2024-11-06 08: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키움증권, 투자의견 ‘매수’ 유지…목표주가 5만5000원으로 상향

키움증권은 디어유에 대해 중국 진출이 줄 효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유지, 목표주가는 기존 3만9000원에서 5만50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전 거래일 기준 종가는 3만9200원이다.

6일 이남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디어유는 텐센트뮤직엔터테인먼트 그룹(TME)과 사업 협력을 통해 버블 서비스의 중국 현지 런칭을 발표했다”며 “K팝의 가장 큰 잠재 시장인 중국에 대한 팬덤 비즈니스가 버블 서비스를 통해 이뤄지기에 그동안 가장 큰 약점으로 지적된 아티스트와의 계약 및 협업 관계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룰 것”이라고 했다.

이 연구원은 “기획사의 중국 직접 진출까지 정확한 기간을 예상할 수는 없어 제한적 상황에서 팬 커뮤니케이션은 미래 성공을 위한 가장 중요한 기능적 열쇠”라며 “버블이 게이트웨이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 연구원은 “신규 비즈니스에 대한 잠재 리스크는 언제나 존재한다”면서도 “이번 중국 진출은 다른 글로벌 지역과는 전개 양상이 다를 것”이라고 했다.

그는 “우선 QQ뮤직 내 입점으로 앱 설치에 대한 마케팅 부담이 없다”며 “가장 중요한 회원가입과 설치에 대한 부담이 매우 낮아지므로 플랫폼 설치 및 프로그램 접근성에 있어 일본과 미국의 신규 앱과는 시작부터 다르다”고 했다.

이 연구원은 “버블은 커뮤니케이션에만 집중한다”며 “버블이 국내 다른 팬덤 플랫폼과 다른 점으로, QQ뮤직의 여러 서비스 카테고리와 겹치지 않는다”고 했다.

그는 “SM과 JYP의 역할로 국내 최대 팬덤 플랫폼으로 성장한 공식을 중국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K팝 아티스트 버블이 중국 스타의 버블 개설에 마중물 역할을 해 포텐셜의 크기를 확대할 것”이라고 했다.

또 그는 “내년 3분기 중국 서비스 런칭으로 내년 해당 로열티 매출은 118억 원을 예상한다”며 “2026년은 TME 가입률 및 K팝 추가 확대, 버블 재팬 안착과 미국 버블의 글로벌 스타 입점까지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평당 4600만원대 진입"…끝 모를 서울 분양가 상승세
  • 제헌절과 공휴일, 재회 기대감 [해시태그]
  • 모수개혁은 한계, 통합적 구조개혁 필요 [다시 연금개혁]
  • "7~8월 누진세 구간 완화"…여름 전기요금 폭탄 면할까
  • 소버린 AI, ‘자립’에서 ‘확장’으로⋯글로벌 기술패권 노린다 [이재명표 AI 전략]
  • 또 김밥, 또 계란…반복되는 여름 식중독 사고 [해시태그]
  • 12만 달러 뚫은 비트코인, 숨 고르기…연말 15만 달러 조준 [Bit코인]
  • "주가가 왜 이래?"…'혁신의 아이콘' 애플, 어쩌다 뒤처졌나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7.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9,800,000
    • -2.29%
    • 이더리움
    • 4,166,000
    • +2.08%
    • 비트코인 캐시
    • 667,500
    • -2.7%
    • 리플
    • 3,920
    • -0.94%
    • 솔라나
    • 219,400
    • -1.48%
    • 에이다
    • 987
    • -0.3%
    • 트론
    • 411
    • +0%
    • 스텔라루멘
    • 604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900
    • +0.03%
    • 체인링크
    • 21,380
    • -0.05%
    • 샌드박스
    • 416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