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충전 전기차ㆍ로봇슈트 등 도전적 R&D 본격화

입력 2019-08-28 20: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산업부는 28일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2019년도 신규과제 수행기관 선정을 위해 대국민 공개 평가 발표회'를 열고 한국기계연구원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려대 등 18곳을 사업 수행기관으로 선정했다.(사진 제공=산업통상자원부)
▲산업부는 28일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2019년도 신규과제 수행기관 선정을 위해 대국민 공개 평가 발표회'를 열고 한국기계연구원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려대 등 18곳을 사업 수행기관으로 선정했다.(사진 제공=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가 고속충전 전기차ㆍ로봇 슈트 등 도전적 연구ㆍ개발(R&D) 지원을 본격화한다.

산업부는 28일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2019년도 신규과제 수행기관 선정을 위해 대국민 공개 평가 발표회'를 열고 한국기계연구원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려대 등 18곳을 사업 수행기관으로 선정했다.

알키미스트 프로젝트는 단기적 사업성보다는 난제 해결을 통한 신시장 창출 가능성, 기술 혁신 가능성 등에 초점을 둔 R&D 지원 사업이다.

1분 충전으로 600㎞를 주행하는 전기차, 태양 전지의 효율을 이론적 한계(30%)를 5%포인트 이상 향상한 '슈퍼 태양 전지', 100m를 7분 안에 주파할 수 있는 '로봇 슈트', 유리창형 태양전지, 실외 미세먼지를 정화하는 자동차, 카르노 효율(열에너지를 운동으로 변환하는 효율) 한계에 근접한 히트 펌프 등 여섯 개 과제가 올해 알키미스트 프로젝트의 지원 대상이다. 이번 평가 발표회를 통해 한 과제당 사업 수행기관 세 곳이 선정됐다.

산업부는 여섯 개 과제에 7년간 총 1600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2년 동안 세 기관이 경쟁형으로 선행 연구를 수행한 후, 가장 혁신적이고 타당한 연구 성과를 낸 기관이 본 연구를 맡는 방식이다.

산업부는 올 안에 '난제 발굴단’을 구성해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지원 과제를 지속해서 발굴키로 했다. 2031년까지 모두 24개 과제에 6000억 원을 지원하는 게 목표다.

박건수 산업부 산업혁신성장실장은 “앞으로도 정부는 성공ㆍ실패에 연연하지 않고 연구자들이 역량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도록 아낌없는 지원을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쯔양·닥터프렌즈·닥터딩요와 함께하는 국내 최초 계란 축제 '에그테크코리아 2025' 개최
  • 수요 41%는 서울 거주자… 남양주왕숙, 6만 가구 공급 속도전 본격화 [르포]
  • 지난달 전국 청약경쟁률 연중 최저…지방 찬바람 속 '서울 불패'
  • 1030세대 사로잡는 힙한 신상⋯이마트24 트렌드랩 ‘화려한 출격’ [현장]
  • ‘혈액암’ 환자 늘어나는데…치료 시기 관건 [e건강~쏙]
  • [AI 코인패밀리 만평] 아니 왜 우리만...
  • 홍콩 아파트 화재 참사, 현재 현장 모습은…
  • "사기도 팔기도 어려우니 버티자"…서울·경기 규제지역 아파트 매물 20% 급감
  • 오늘의 상승종목

  • 11.28 14:0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247,000
    • -0.12%
    • 이더리움
    • 4,500,000
    • -0.97%
    • 비트코인 캐시
    • 794,500
    • -2.22%
    • 리플
    • 3,267
    • -1.27%
    • 솔라나
    • 208,900
    • -2.2%
    • 에이다
    • 633
    • -2.31%
    • 트론
    • 418
    • +0.97%
    • 스텔라루멘
    • 376
    • -2.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31,270
    • -0.79%
    • 체인링크
    • 19,740
    • -1.55%
    • 샌드박스
    • 238
    • -1.2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