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충전 전기차ㆍ로봇슈트 등 도전적 R&D 본격화

입력 2019-08-28 20: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산업부는 28일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2019년도 신규과제 수행기관 선정을 위해 대국민 공개 평가 발표회'를 열고 한국기계연구원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려대 등 18곳을 사업 수행기관으로 선정했다.(사진 제공=산업통상자원부)
▲산업부는 28일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2019년도 신규과제 수행기관 선정을 위해 대국민 공개 평가 발표회'를 열고 한국기계연구원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려대 등 18곳을 사업 수행기관으로 선정했다.(사진 제공=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가 고속충전 전기차ㆍ로봇 슈트 등 도전적 연구ㆍ개발(R&D) 지원을 본격화한다.

산업부는 28일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2019년도 신규과제 수행기관 선정을 위해 대국민 공개 평가 발표회'를 열고 한국기계연구원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려대 등 18곳을 사업 수행기관으로 선정했다.

알키미스트 프로젝트는 단기적 사업성보다는 난제 해결을 통한 신시장 창출 가능성, 기술 혁신 가능성 등에 초점을 둔 R&D 지원 사업이다.

1분 충전으로 600㎞를 주행하는 전기차, 태양 전지의 효율을 이론적 한계(30%)를 5%포인트 이상 향상한 '슈퍼 태양 전지', 100m를 7분 안에 주파할 수 있는 '로봇 슈트', 유리창형 태양전지, 실외 미세먼지를 정화하는 자동차, 카르노 효율(열에너지를 운동으로 변환하는 효율) 한계에 근접한 히트 펌프 등 여섯 개 과제가 올해 알키미스트 프로젝트의 지원 대상이다. 이번 평가 발표회를 통해 한 과제당 사업 수행기관 세 곳이 선정됐다.

산업부는 여섯 개 과제에 7년간 총 1600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2년 동안 세 기관이 경쟁형으로 선행 연구를 수행한 후, 가장 혁신적이고 타당한 연구 성과를 낸 기관이 본 연구를 맡는 방식이다.

산업부는 올 안에 '난제 발굴단’을 구성해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지원 과제를 지속해서 발굴키로 했다. 2031년까지 모두 24개 과제에 6000억 원을 지원하는 게 목표다.

박건수 산업부 산업혁신성장실장은 “앞으로도 정부는 성공ㆍ실패에 연연하지 않고 연구자들이 역량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도록 아낌없는 지원을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솔라나재단 회장 24일 방한… 이투데이 '디지털자산 포럼' 기조연설
  • 구글, 美서 크롬과 AI 제미나이 통합…검색엔진 시장 경쟁 가속
  • 셀트리온, 유럽서 오말리주맙 시밀러 ‘옴리클로’ 출시⋯“퍼스트무버 강점 활용”
  • 단독 기업대출 쏠림 심화…대기업 2배 늘 때 중소기업 1.3배 그쳐 [기업대출 양극화①]
  • "7시 땡! 들어갔는데 이미 품절"… 메가박스 ‘귀멸의 칼날 키링’ 또 완판
  • 2나노 양산 주도권 경쟁…TSMC 질주에 삼성 반격 가속 [ET의 칩스토리]
  • [날씨] 전국 곳곳 빗방울…낮 기온 최고 28도
  • 오뚜기 ‘참깨라면’, 참깨ㆍ계란의 찰떡궁합⋯30년 인기비결은 ‘고소한 맛’ [K-라면 신의 한수⑭]
  • 오늘의 상승종목

  • 09.19 12:1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2,853,000
    • +0.02%
    • 이더리움
    • 6,388,000
    • -0.62%
    • 비트코인 캐시
    • 860,000
    • -0.06%
    • 리플
    • 4,271
    • -0.86%
    • 솔라나
    • 343,900
    • +0.29%
    • 에이다
    • 1,292
    • +0.86%
    • 트론
    • 486
    • +1.67%
    • 스텔라루멘
    • 550
    • -0.36%
    • 비트코인에스브이
    • 36,570
    • +0.52%
    • 체인링크
    • 34,430
    • +2.81%
    • 샌드박스
    • 439
    • +1.1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