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엔저 타격 2~3년 지속…금융위기 재연 우려”

입력 2015-05-29 16:4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엔저타격이 앞으로 2~3년간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에 따라 산업계의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또 엔저로 금융위기가 재연될 가능성도 제기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9일 아시아금융학회와 공동으로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초엔저의 전망과 파장 및 대응과제’ 세미나를 열고 엔저 대응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권태신 한경연 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향후 2~3년간 점진적인 미국 금리인상과 엔화 약세 전망을 고려해 볼 때, 엔화 약세가 지속되고 이로 인해 원·엔 환율 하락도 장기화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권 원장은 또 “원·엔 환율 하락이 지속되면 한국의 수출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며, “자칫하면 원·엔 환율이 하락하면서 발생했던 1997년과 2008년의 금융위기가 재연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발표자로 나선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엔화 약세 장기화에 따른 일본 기업의 이익 확대가 일본 기업들의 체질 또는 제품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면서 한국의 수출과 기업경쟁력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박 팀장은 특히 엔저 이후 한국과 일본 자동차·철강업체들의 영업이익 흐름이 확연하게 차별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 내 자동차·철강업체들의 경우 글로벌 경기회복 지연에도 불구하고 이익이 큰 폭으로 늘어난 반면, 국내 동일 업종 기업들의 이익은 소폭 상승 내지 답보 상태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오정근 아시아금융학회 회장은 하반기 중 100엔당 원화 환율이 800원대 중반까지 하락해 수출과 성장에 타격이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오 위원은 △ 무분별한 자본 유입에 대한 거시건전성 규제 △ 질서 있는 외환시장 개입 △ 불황형 흑자 교정을 위한 내수 진작 △ 적합한 환율제도 모색 △ 국제금융외교 강화 등을 제시했다.

변양규 한경연 거시연구실장은 “일본의 공격적인 수출단가 인하가 예상됨에 따라 엔저의 피해가 상당기간 지속할 것”이라며 “그동안 수출단가를 인하하지 않았던 섬유, 기계, 운송장비 산업을 중심으로 대비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일본과 수출경합도가 높은 자동차산업의 경우에도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면서 “우리나라 수출의 15%를 차지하는 대(對)아세안 수출이 엔저의 타격을 가장 크게 받는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맞춤형 수출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솔라나재단 회장 24일 방한… 이투데이 '디지털자산 포럼' 기조연설
  • 단독 지난해 교대 자퇴생 484명⋯임용 불안·교권 약화에 이탈 가속
  • '2026 KBO 리그 신인드래프트' 1라운드 종료…박준현·신재인·오재원 등 지명
  • 코레일, 추석 열차 승차권 예매 접속 지연 '사과'⋯단계적 시스템 정상화
  • ‘통일교 불법 정치자금 수수’ 권성동 구속⋯法 “증거인멸 우려”
  • SK하이닉스, 낸드 수요 성장·HDD 가격 인상으로 수혜 가시화 [ET의 칩스토리]
  • 美 향하는 K웨어러블 심전도 기기, 글로벌 시장 공략 본격화
  • 내놨다 하면 ‘불티’⋯유통가 불붙은 초저가 상품 경쟁
  • 오늘의 상승종목

  • 09.17 15:2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2,704,000
    • +1.09%
    • 이더리움
    • 6,282,000
    • -0.22%
    • 비트코인 캐시
    • 833,500
    • +0.66%
    • 리플
    • 4,196
    • +0.77%
    • 솔라나
    • 327,000
    • -0.52%
    • 에이다
    • 1,223
    • +1.92%
    • 트론
    • 474
    • -1.46%
    • 스텔라루멘
    • 535
    • +1.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36,120
    • +0.19%
    • 체인링크
    • 32,490
    • -0.64%
    • 샌드박스
    • 417
    • +0.9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