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지하철 5호선 방화범 구속기소…살인미수 혐의 추가

입력 2025-06-25 14: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범행 전부터 치밀한 계획”⋯승객 160명 살인미수 혐의 적용

▲서울 지하철 5호선 전동차 안에서 방화로 화재를 일으킨 60대 남성 원 모 씨가 2일 서울 양천구 서울남부지법에서 열린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서울 지하철 5호선 전동차 안에서 방화로 화재를 일으킨 60대 남성 원 모 씨가 2일 서울 양천구 서울남부지법에서 열린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서울 지하철 5호선 열차에 불을 지른 60대 남성이 구속 상태로 재판에 넘겨졌다.

서울남부지검 ‘지하철 5호선 방화사건’ 전담수사팀(팀장 손상희 부장검사)은 25일 살인미수 및 현존전차방화치상죄 위반 등 혐의로 원모(67) 씨를 구속기소했다고 밝혔다.

앞서 경찰은 원 씨에게 현존전차방화치상 혐의만 적용해 송치했으나 검찰은 범행의 중대성을 고려해 열차 승객 160명에 대한 살인미수 혐의를 추가했다.

검찰 수사 결과 원 씨는 사전에 치밀하게 범행을 계획한 것으로 파악됐다. 범행 열흘 전인 지난달 21일 주유소에서 휘발유를 구매하고, 정기예탁금과 보험 계약을 해지하는 등 전 재산을 정리해 친족에게 송금했다.

범행 전날인 지난달 30일에는 휘발유를 들고 지하철 1·2·4호선을 번갈아 타면서 범행 장소를 물색했다.

범행 장소였던 지하철 5호선 여의나루~마포역 구간은 한강 밑을 관통하는 약 1.6㎞의 하저 터널로 대피 가능성, 질식 가능성, 화재 진압 어려움 등 위험이 큰 곳으로 조사됐다.

검찰은 “원 씨는 임산부인 승객이 휘발유가 살포된 바닥에 미끌려 넘어져 미처 대피하지 못한 상태에 있음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라이터로 휘발유에 불을 붙이는 등 살인의 범의가 객관적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불연성‧난연성 내장재가 장착돼 피고인의 방화에도 불이 크게 번지지 않아 대형참사를 피할 수 있었다”며 “피해자에 대한 치료비 지원, 트라우마에 대한 약물치료 지원 등 조치도 함께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원 씨는 지난달 31일 오전 8시43분께 서울 지하철 5호선 여의나루역을 출발해 마포역으로 향하던 열차 내에서 불을 질러 승객 160명을 살해하려다 미수에 그치고, 승객 6명에게 상해를 입힌 혐의를 받는다.

검찰 조사에 따르면 원 씨는 이혼소송 결과에 대한 불만과 아내에 대한 배신감을 가지고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확인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디저트부터 케이팝까지… 신세계명동, K컬처 성지로
  • 지니어스法 통과…리플 등 알트코인, ‘불장’ 신호
  • '불꽃야구' 이대호, 동아대전 생중계 직관서 만루홈런 '쾅'…박재욱 멀티히트 '맹활약'
  • 도파민 터지지만, 피로감도↑…'이혼 예능' 이대로 괜찮을까 [데이터클립]
  • 닷새간 폭우로 사망 14명·실종 12명⋯장마 끝나자 폭염 시작
  • 李정부, 법인·대주주 '尹부자감세' 전면 복원...법인세 원상 복구할 듯
  • '소비쿠폰' 21일부터 신청… 첫주 출생연도 따라 요일제
  • 59㎡ 아파트가 40억대…소형아파트 매매가 또 경신
  • 오늘의 상승종목

  • 07.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1,446,000
    • -0.26%
    • 이더리움
    • 5,145,000
    • +5.91%
    • 비트코인 캐시
    • 749,500
    • +8.7%
    • 리플
    • 4,797
    • +2.26%
    • 솔라나
    • 248,200
    • +2.22%
    • 에이다
    • 1,186
    • +5.61%
    • 트론
    • 433
    • -1.37%
    • 스텔라루멘
    • 645
    • +1.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960
    • +5.01%
    • 체인링크
    • 26,780
    • +9.04%
    • 샌드박스
    • 472
    • +7.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