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성향에 맞춘 일정...본회의 짧게 한 번
국방비 5% 증액에 집중...우크라전은 뒷전으로
미국의 이란대응에 ‘내분’ 조짐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가 24일(현지시간) 공식 개막한다. 나토에 참여하는 32개국 정상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2기 행정부가 출범한 뒤 처음으로 한 자리에 모인다.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각국 정상들은 이날 오전부터 네덜란드 헤이그에 집결하기 시작한다.
32개국 정상이 모두 참여하는 첫 일정은 이날 오후 7시 네덜란드 빌럼 알렉산더르 국왕 관저에서 개최되는 환영 만찬이다. 이후 정상들은 25일 오전 북대서양이사회(NAC) 본회의에 참석한다.
이번 정상회의는 트럼프 대통령의 성향에 맞춰 계획됐다. 최근 타임지에 따르면 NAC 본회의가 2~3차례 열리던 예년과 달리 올해 단 한 차례 회의만 2시간 30분으로 진행되는데 다자회의나 긴 회의를 선호하지 않는 트럼프 대통령의 스타일에 맞게 조정됐다는 해석이다.
관련 뉴스
논의의 초점도 나토 회원국의 국방비 증액에만 맞춰질 가능성이 크다고 WP는 전망했다. 32개국은 이번 정상회의에서 2035년까지 국방비를 국내총생산(GDP)의 5%를 지출한다는 새로운 계획에 합의할 예정이다.
이 역시 직접 군사비 3.5%, 간접적 안보 관련 비용 1.5% 지출로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였던 5%를 어렵사리 맞췄다는 해석이 나온다.
다만 전날 마르크 뤼터 나토 사무총장이 사전 기자회견에서 모든 국가에 동일한 5% 기준 적용을 강조했지만 스페인이나 벨기에, 슬로바키아 등은 합의가 공식 발표되기도 전에 면제 등을 주장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 현안은 뒷전으로 밀릴 것으로 예상된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도 24일 만찬에 참석하지만 트럼프 대통령과의 양자 회담 성사 여부는 불확실하다.
오히려 논의가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습 여파로 집중될 가능성이 크다. 로이터통신은 다른 나토 지도자들이 트럼프에게 직접 혹은 기자들에게 발언하는 방식으로 이 공격에 대해 언급할지 여부도 중요하다고 짚었다.
미국의 이란 대응 방식을 두고 ‘내분’ 조짐도 보이고 있다. 요나스 가르 스퇴르 노르웨이 총리나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등은 미국의 이란 공격이 국제법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지적하고 있다.
반면 뤼터 사무총장은 사전 기자회견에서 관련 질문에 “이란이 핵무기를 보유해서는 안 된다는 게 나토의 일관된 입장”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미국이 한 일이 국제법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데 동의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이스라엘과 이란이 12일간 진행해온 무력 충돌과 관련해 양국이 ‘완전하고 전면적인 휴전’에 합의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