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확보 등 후속 과제 산적⋯추진력 발휘하나

이재명 대통령이 16개월간 공석이었던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지명했다. '성평등가족부' 개편 등 새 정부의 정책 기조에 따라 여가부의 명칭 변경과 기능 확대 등에 관한 논의가 본격화할 전망이다.
24일 여가부 관계자는 "강 후보자는 목요일(26일) 청사 근처 사무실로 처음 출근할 예정"이라며 "현재 사무실 정비로 인해 여가부 직원들이 의원실을 오가며 (청문회 준비 등) 업무를 조율 중"이라고 전했다.
여가부 장관 자리는 16개월간 공석이었다. 윤석열 정부 때 '여가부 폐지', '잼버리 사태', '예산 삭감', '김행 후보자 논란' 등 각종 내홍을 겪으며 부처가 존폐 위기에 직면했다.
여가부는 김현숙 전 장관 사임 이후 신영숙 차관 대행 체제로 운영되다가 윤 전 대통령의 탄핵과 조기 대선 과정에서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후보 때 여가부의 '성평등가족부' 개편 및 부처 기능 강화 등을 공약하면서다.
관련 뉴스
당시 이 대통령은 성평등 공약을 발표하면서 "성평등을 추구하는 것이지 여성만을 위해 정책을 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여가부를) 폐지하지 말고 이름을 바꿔 역할을 확대·강화하자는 게 기본적 방침"이라고 말했다.
여전히 사회적 약자로서의 여성 권익을 보호하되 남성이란 이유로 불이익을 받지 않게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정책이란 특수한 영역을 세분해서 세심하게 배려해야 할 필요도 있다"라고 말했다.
이 같은 정책 기조에 따라 강 후보자는 청문회를 통과하면 존폐 갈림길에 섰던 여가부의 위상 강화에 힘쓸 것으로 보인다.
지난 18일 대통령직속 국정기획위원회에서도 △성평등가족부로 확대·개편 △성평등 거버넌스 추진 체계 강화 △위기청소년과 한부모 가정 지원 확대 등 여가부 관련 현안들이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여가부 개편이 단순한 명칭 변경에 그치지 않고, 성별·세대·가족 형태의 다양성을 포괄하는 정책 설계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여가부의 올해 예산은 1조7788억 원이다. 일각에서는 예산 확보 등 후속 과제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재선 국회의원인 강 후보자가 지난 정부에서 위상이 추락한 부처를 정상화하고, 예산 복원 등 산적한 현안들을 얼마나 추진력 있게 풀어나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앞서 강 후보자는 장관 후보자 지명과 관련해 "더 낮은 곳, 더 어려운 곳, 더 아픈 곳으로 제 몸과 마음이 흐르도록 하겠다"라며 "앞으로 있을 국회 인사청문회에 성실히 임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