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 자국민에 “전 세계 반미 시위‧위협 주의” 경보

입력 2025-06-23 10:5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국 시민과 이익에 반하는 시위 일어날 수 있어”
“주의 기울여야”...최신 보안 경고 자주 확인 권고
국토안보부, 전국 테러주의 경보 시스템 경고 발령

▲22일(현지시간) 백악관 앞에서 사람들이 이란과의 전쟁 반대 시위를 벌이고 있다. 워싱턴D.C./UPI연합뉴스
▲22일(현지시간) 백악관 앞에서 사람들이 이란과의 전쟁 반대 시위를 벌이고 있다. 워싱턴D.C./UPI연합뉴스

미국 국무부가 22일(현지시간) 전 세계 미국 시민들에게 반미(反美) 시위와 위협 등에 주의하라는 경보를 발신했다.

이날 CNN방송에 따르면 미 국무부는 홈페이지를 통해 “이스라엘과 이란 간의 갈등은 중동 전역에서 여행이 중단되고 영공이 주기적으로 폐쇄되고 있다”며 “해외에서 미국 시민과 이익에 반하는 시위가 일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전 세계 미국 시민들에게 주의를 기울일 것을 권고한다”며 국무부 웹사이트를 통해 국가별 정보와 최신 보안 경고를 자주 확인하라고 강조했다. 이란은 미국의 핵시설 공습 이후 보복을 공언한 상황이다.

미국 국토안보부(DHS)도 같은 날 성명을 통해 미국의 대 이란 군사 작전 이후 “미국 내 테러 위협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며 미국의 전국 테러주의 경보 시스템(NTAS) 경고를 발령했다.

NTAS는 “이란과 연관된 해커 집단이나 친이란 성향 조직이 미국의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사이버 공격을 수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또 “이란 지도부가 종교적 선언을 통해 보복 폭력을 촉구할 경우 이를 따르는 극단주의자들이 미국 내에서 실제 테러를 일으킬 수 있다”며 이란 정부가 미국 내 관료나 특정 인물들을 목표로 테러를 계획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NTAS는 “폭력적 극단주의자나 증오 범죄 집단이 보복 목적으로 표적을 공격할 수 있다”면서 사이버 보안을 강화하고, 지역 당국 및 정보기관과 긴밀하게 정보를 공유하며 의심스러운 행동 포착 시 즉시 신고할 것을 촉구했다.

2001년 9·11 테러를 겪은 뉴욕은 ‘최고 경계 상태(high alert)’에 들어갔다.

국무부가 전 세계 미국 시민을 대상으로 경보를 발신하는 일은 매우 드문 경우로 직전에 경보가 발신됐던 것은 2023년 10월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가 가자지구에서 이스라엘을 공격했을 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해마다 오르는 최저임금...흔들리는 중기·소상공인 생존권
  • 아파트도 잠겼다…물폭탄 맞은 충남, 호우피해 현장 모습
  • 해외 자사주 규제 엄격하다지만…재무전략 자산으로 활용
  • ‘삶의 질’ vs ‘생산성’⋯노동계-경영계 극명한 입장 차
  • 스타벅스, 또 프리퀀시 대란⋯불만 속출에도 ‘시스템 탓’
  • '골 때리는 그녀들' 구척장신, 불나비에 3-1 승리⋯4강 직행ㆍ김진경 멀티골
  • 스테이블코인, 규제 변수에도 미국 국채 수요처로 주목…국내 활용 논의도 본격화
  • 트럼프 “파월 해임 계획 없어”…뉴욕증시 나스닥 또 최고치
  • 오늘의 상승종목

  • 07.17 09:0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1,522,000
    • +0.62%
    • 이더리움
    • 4,596,000
    • +7.43%
    • 비트코인 캐시
    • 679,500
    • +0.07%
    • 리플
    • 4,135
    • +4.18%
    • 솔라나
    • 236,300
    • +5.73%
    • 에이다
    • 1,040
    • +2.26%
    • 트론
    • 421
    • +2.43%
    • 스텔라루멘
    • 616
    • +0.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440
    • +9.95%
    • 체인링크
    • 22,740
    • +3.79%
    • 샌드박스
    • 430
    • +0.2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