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ㆍ이란 충돌 격화에 호르무즈 해협 피하는 선주들

입력 2025-06-18 14:5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아직은 적당한 감소...상황 급변할 수도”

▲이란 호르무즈 해협에서 2018년 12월 21일 유조선이 운항하고 있다. 호르무즈/로이터연합뉴스
▲이란 호르무즈 해협에서 2018년 12월 21일 유조선이 운항하고 있다. 호르무즈/로이터연합뉴스

이스라엘과 이란 교전 격화에 호르무즈 해협을 피하는 선주들이 늘고 있다고 17일(현지시간) CNBC방송이 분석했다. 이스라엘이 이란을 기습 공습한 이후 교전이 닷새째 이어지면서 세계 석유 운송의 핵심 관문인 호르무즈 해협을 두고 석유업계 불안감도 높아졌다.

세계 최대 해운협회인 빔코(BIMCO)에 따르면 선주들의 우려가 커지면서 호르무즈 해협을 지나는 선박 수가 감소하고 있다.

페르시아만과 아라비아해를 연결하는 호르무즈 해협은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석유 운송의 요충지 중 하나로 세계 석유의 20%가 통과하는 해상 통로다. 또한 석유 운송과 함께 글로벌 컨테이너 무역의 핵심지로 봉쇄 시에는 글로벌 에너지·물류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보통 빔코는 선박이 호르무즈 해협 같은 핵심 요충지는 물론 특정 지역을 피해 운행되지 않도록 권고한다. 일시적으로라도 호르무즈 해협을 피해 운항하게 될 경우 공급이 지연되는 것은 물론 운송비가 오르면서 글로벌 에너지 가격도 뛰기 때문이다.

그러나 양국의 교전이 확산하는 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란 최고지도자를 향해 “쉬운 표적”이라며 위협을 더해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야콥 라르센 빔코 회장은 다만 “호르무즈 해협을 향해하는 선박 수는 적당히 감소하고 있다”면서 “상황과 위험 감수성은 선주마다 크게 다르다”고 말했다. 이어 상황이 더 어려워지더라도 운송이 완전히 멈추지는 않을 거라고 예상했다.

라르센 회장은 “안보 위협이 고조되면 운임과 임금이 상승해 위험 지역이라도 통과를 감수할 경제적 유인이 된다”며 “이러한 역학 아래 수세기 동안의 분쟁과 전쟁 속에서도 세계 무역이 지탱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교전 양상에 따라 상황은 바뀔 수 있다고 CNBC는 지적했다. 보험 중개업체 맥길의 데이비드 스미스는 “당분간은 눈에 띄는 증가 없이 해운 보험료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겠지만, 상황은 언제든 급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스라엘이 이란을 공격한 이후로도 운임은 급등한 상황이다. 리서치 회사 케이플러의 전날 발표에 따르면 중동 걸프 유조선의 중국으로의 운임은 이스라엘이 이란을 공격한 13일 배럴당 1.67달러로 24% 급등했다.

독일에 본사를 둔 컨테이너 운송업체 하팍로이드의 대변인도 “현재 수로를 지나는 데 더 큰 문제가 발생할 것 같지는 않다”면서도 “상황은 매우 짧은 시간 내에도 변할 수 있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해킹 후폭풍, 경쟁사 ‘보안 마케팅’⋯번호이동도 증가세
  • 작년 수시 무전공학과 살펴보니…“경쟁률 높고, 입결 중간 수준”
  • 까다로워진 수요자 기준⋯'지역 내 강남' 분양 단지 몰린다
  • 박진감 넘치는 태권도문화축제…땡볕 더위 속 이색 페스티벌 열려 [주말N축제]
  • '강철 심장' 내려놓고 '휴머니스트'로 컴백한 슈퍼맨…DC 야심작 출격 [시네마천국]
  • "특가 항공권 조심하세요"...제주여행 소비자피해 3년간 1500건 넘어
  • 이진숙·강선우 논란 일파만파...野 맹공 속 민주당 ‘난감’
  • '최저임금 합의거부' 민주노총이 얻은 것과 잃은 것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9,433,000
    • -0.1%
    • 이더리움
    • 3,991,000
    • -1.38%
    • 비트코인 캐시
    • 696,500
    • -1.62%
    • 리플
    • 3,780
    • +4.28%
    • 솔라나
    • 216,800
    • -2.91%
    • 에이다
    • 967
    • -3.4%
    • 트론
    • 408
    • +1.49%
    • 스텔라루멘
    • 537
    • +20.4%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430
    • -1.94%
    • 체인링크
    • 20,410
    • -3.04%
    • 샌드박스
    • 388
    • -3.2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