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10곳 중 6곳 "한일 경제협력 필요…첨단산업 시너지 기대"

입력 2025-06-19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 맞아 1000대 기업 대상 설문
통상 이슈 공동 대응 시급…R&D 협력 및 제3국 진출도 과제로

(출처=한국경제인협회)
(출처=한국경제인협회)

국내 기업 10곳 중 6곳은 한국경제 성장을 위해 한국과 일본의 경제 협력이 필요하며, 특히 반도체·인공지능(AI) 등 첨단산업 분야에서 큰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봤다.

19일 한국경제인협회가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아 매출액 상위 1000대 기업(비금융사 대상·101개사 응답)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기업의 56.4%는 국교 정상화 이후 양국의 경제 협력이 한국경제 발전을 촉진했다고 평가했다.

경제 발전에 기여한 협력 분야로는 △기술 이전 및 협력 △일본 진출을 통한 시장 확대 △관광, 문화 산업 발전 △소재·부품·장비 등 공급망 안정화 등을 꼽았다.

응답기업의 62.4%는 한국경제 성장을 위해 한일 경제 협력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협력이 불필요하다는 의견은 3.0%에 불과했다. 또 88.1%는 경제 협력을 위해 안정적인 한일 관계가 중요하다고 답변했다.

(출처=한국경제인협회)
(출처=한국경제인협회)

일본과 협력했을 때 시너지 효과가 기대되는 산업으로는 △반도체 △AI 등 첨단산업을 비롯해 △자동차 △바이오·헬스케어 △조선 및 배터리 등으로 조사됐다.

국내 기업들은 가장 필요한 한일 경제 협력 방식으로 '보호무역주의 등 글로벌 통상 이슈 공동 대응'을 꼽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등 대외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양국의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고 본 것이다.

△공동 연구 및 인재 육성 등 연구개발(R&D) 협력 △정상급 교류 확대 △제3국 공동 진출 등에 대한 필요성도 제기됐다.

(출처=한국경제인협회)
(출처=한국경제인협회)

현재 일본과 개별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기업 61개사 중 42.7%는 일본과의 협력이 비즈니스에 중요하다고 응답했다(△매우 중요 6.6% △중요한 편 36.1%).

일본과 협력 중인 국내기업 절반(49.2%)은 '일본과의 협력을 다른 국가로 대체하기 어렵거나 대체에 3년 이상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구체적으로는 다른 국가로 대체하는 것이 어렵다는 기업 응답률이 21.3%, 3년 이상 소요된다는 기업이 27.9%로 각각 조사됐다.

김봉만 한경협 국제본부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한일 경제 협력에 대한 우리 기업들의 높은 수요를 확인했다”며 “한경협은 첨단산업 등 유망 협력 분야를 중심으로 우리 기업들의 경제 영토 확장을 적극 지원하고, 일본 측 파트너인 일본경제단체연합회와의 협력도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해킹 후폭풍, 경쟁사 ‘보안 마케팅’⋯번호이동도 증가세
  • 작년 수시 무전공학과 살펴보니…“경쟁률 높고, 입결 중간 수준”
  • 까다로워진 수요자 기준⋯'지역 내 강남' 분양 단지 몰린다
  • 박진감 넘치는 태권도문화축제…땡볕 더위 속 이색 페스티벌 열려 [주말N축제]
  • '강철 심장' 내려놓고 '휴머니스트'로 컴백한 슈퍼맨…DC 야심작 출격 [시네마천국]
  • "특가 항공권 조심하세요"...제주여행 소비자피해 3년간 1500건 넘어
  • 이진숙·강선우 논란 일파만파...野 맹공 속 민주당 ‘난감’
  • '최저임금 합의거부' 민주노총이 얻은 것과 잃은 것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9,467,000
    • -0.09%
    • 이더리움
    • 3,992,000
    • -1.29%
    • 비트코인 캐시
    • 696,500
    • -1.62%
    • 리플
    • 3,779
    • +4.42%
    • 솔라나
    • 217,000
    • -2.65%
    • 에이다
    • 967
    • -3.3%
    • 트론
    • 408
    • +1.49%
    • 스텔라루멘
    • 539
    • +20.58%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360
    • -2.13%
    • 체인링크
    • 20,430
    • -2.99%
    • 샌드박스
    • 388
    • -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