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폐방지 실무위원회는 17일 한국은행 본관에서 2025년 상반기 정기회의를 열고 “최근 위폐 제조·유통 양상이 과거와 달라지고 있어 국민의 지속적인 경각심 유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위폐방지 실무위원회는 한은, 국가정보원, 경찰청, 관세청, 국립과학수사연구원, 한국조폐공사 등 6개 기관 소속의 위폐담당 직원들로 구성됐다.
이날 오전 실무위원회는 한은 본관에서 2025년 상반기 정기회의를 개최해 최근 위조화폐 발견 현황, 위조지폐 특징, 유통사례 등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실무위원회는 “화폐 위조범의 연령대는 과거에는 주로 고령층이었으나 최근 고성능 컬러프린터의 보편화로 10대 청소년 등 젊은 층까지 확산되고 있으며, 위폐 유통채널도 SNS 등 온라인 공간으로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과거에는 위조지폐가 주로 고령층이 운영하는 전통시장, 노점상에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편의점, 복권판매점, 택시, 식당, 주유소 등 대면 시간이 짧은 업종의 혼잡한 시간대를 노린 사례도 발견됐다”고 부연했다.
또한 실무위원회는 최근 미 달러화를 중심으로 국내에서 발견되는 외화 위조지폐 건수와 금액이 증가하고 있어 경과를 주의 깊게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관세청은 지난달 부산항에 정박 중인 국제무역선 선원이 소지하고 있던 위조지폐 미화 100달러권을 적발했다.
실무위원회는 “온라인상에서의 위폐 유통을 차단하기 위해 SNS 등 온라인플랫폼을 모니터링하고 관련 정보를 유관기관 간 공유하여 위조범 및 유통책이 조기에 검거될 수 있도록 협력해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은이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2016년 12월에 공동 개발한 ‘알기쉬운 위조지폐 확인법 앱’에 대한 전면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있어 9월 중 신규 버전을 공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