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통화량 증가 전환…정기예적금·수익증권 늘어

입력 2025-06-16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은, 16일 ‘2025년 4월 통화 및 유동성’ 발표
M2, 0.2% 증가…정기예적금·수익증권 증가
M1, 두 달째 감소…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 등 줄어

(한국은행)
(한국은행)
시중통화량이 증가 전환했다. 예금금리 추가 하락 전 예치 수요 등이 유입된 영향을 받았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2025년 4월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4월 광의통화(M2) 평잔(계절조정 기준)은 4235조8000억 원으로 전월대비 8조1000억 원(0.2%) 증가했다. 전월에 0.1% 감소했으나 한 달만에 증가 전환한 것이다.

상품별로 정기예적금(0.5%, 9조4000억 원), 수익증권(1.3%, 5조1000억 원) 등이 증가했다. 한은은 “정기예적금은 예금금리 추가 하락 이전 예치 수요 등으로 증가했고, 수익증권은 예금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제공하는 단기 채권형을 중심으로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협의통화(M1)에 해당하는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0.7%, -5조3000억 원), 요구불예금(-0.5%)는 감소했다. 현금은 0.2% 증가했다. 한은은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은 지방정부 재정집행을 위한 자금 인출, 기업 배당금 지급 및 부가가치세 납부 등으로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4월 M1 평잔(계절조정 기준)은 1272조5000억 원으로 전월대비 7조 원(0.6%) 줄었다.

금융기관유동성(Lf, 평잔)(이하 계절조정 기준)은 5785조7000억 원으로 전월대비 0.3% 증가했고, 광의유동성(L, 말잔)은 7276조9000억 원으로 전월말대비 0.5% 늘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해킹 후폭풍, 경쟁사 ‘보안 마케팅’⋯번호이동도 증가세
  • 작년 수시 무전공학과 살펴보니…“경쟁률 높고, 입결 중간 수준”
  • 까다로워진 수요자 기준⋯'지역 내 강남' 분양 단지 몰린다
  • 박진감 넘치는 태권도문화축제…땡볕 더위 속 이색 페스티벌 열려 [주말N축제]
  • '강철 심장' 내려놓고 '휴머니스트'로 컴백한 슈퍼맨…DC 야심작 출격 [시네마천국]
  • "특가 항공권 조심하세요"...제주여행 소비자피해 3년간 1500건 넘어
  • 이진숙·강선우 논란 일파만파...野 맹공 속 민주당 ‘난감’
  • '최저임금 합의거부' 민주노총이 얻은 것과 잃은 것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9,638,000
    • +0.02%
    • 이더리움
    • 4,005,000
    • -0.69%
    • 비트코인 캐시
    • 702,000
    • -0.64%
    • 리플
    • 3,771
    • +5.51%
    • 솔라나
    • 218,400
    • -1.53%
    • 에이다
    • 974
    • -1.42%
    • 트론
    • 409
    • +1.74%
    • 스텔라루멘
    • 545
    • +25.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560
    • -2.04%
    • 체인링크
    • 20,620
    • -1.53%
    • 샌드박스
    • 393
    • -1.0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