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리실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천원의 아침밥이나 이런 걸 했던 걸 생각해서 정책적으로 검토해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하는 걸 던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김 후보자는 간담회에서 "당에서 민주연구원장과 정책위의장을 하면서 ‘대학생 천원의 아침밥’과 ‘경로당 주5일 점심’ 두 개를 제가 다 입안해서 제기해본 경험이 있다"며 "‘직장인 든든한 점심’ 까지 연동되는 일종의 3대 세트로 발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냐 그렇게 해서 품격있는 국민의 삶과 식사를 해결하는 그러한 정책을 발전해가면 어떤가 하는 생각을 제가 해봤다"고 말한 바 있다.
이 관계자는 "만약에 구내식당에서 식사하는 직장인들을 지원해서 든든한 점심을 보조한다고 하면 식당이 그렇게 크지 않은 회사 다니는 사람, 또는 식당 없는 회사에 다니는 분들은 더 열악한 분들인데 그런 분들은 오히려 지원 못 받고 모순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고려할 게 많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거를 만약에 대학교 같은 경우는 구내로 영역이 한정돼 있지만 가령 직장 다니는데 식당 같은 걸 한다고 하면 그 근처 음식점들은 또 더 어려워지는 면도 생길 수도 있다"고 부연했다.
이 관계자는 또 김 후보자는 가격에 직접 개입할 의도는 없다는 취지로 말을 했는데 배달 수수료도 가격의 일환인데 거기에는 직접 개입하겠다는 의도가 아니냐는 질의에 "일단은 관련 업계하고 당하고 대화를 통해서 솔루션을 만들겠다고 하는 것"이라며 "그래서 그건 대화를 통한 우선적인 해결 방안을 찾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만약에 원만한 합의가 안 되면 무한정 대화만 할 거냐 그런 이슈가 당연히 제기될 것"이라며 "그때는 법 제정도 고려할 수밖에 없지 않으냐"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