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석 후보자는 이날 서울 금융감독원 연수원에서 '밥상물가 안정을 위한 경청 간담회'를 주재하고 "직장인들은 점심을 할 때마다 굉장히 고통스러울 것이다. 이렇게 느껴서 대단히 송구스러운 마음을 가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간담회는 총리 후보자가 취임도 전에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이례적으로 관련 업계를 만나 주목을 받았다. 김 후보자는 "정부는 움직여야 되기 때문에 정부에 문제를 제기한다는 차원에서라도 식품 물가를 최우선 관심 사안으로 한번 가져보는 것이 좋겠다 싶어서 각계의 말씀을 듣고 정부의 관심을 환기하는 차원에서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제2의 IMF 위기"라며 "경제가 역성장, 마이너스 성장의 상황이고 생활물가가 급상승하고 있어서 민생의 고통이 이루 말할 수가 없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잘 아시다시피 최근에 식품ㆍ외식 물가가 상승하는 대에는 기후변화에 따른 원재료의 국제가격 또 환율상승 또 인건비 증가 이렇게 다양한 원인이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 뉴스
김 후보자는 "원재료의 원가를 낮추는 문제, 수입물가도 있고 국내에서의 대체재를 어떻게 하느냐 하는 문제가 있고 유통구조 혁신의 문제도 있고 소비자 측면에서, 사실은 외식과 관련해서는 배달비의 합리적 조정문제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직장인들 입장에서는 직장인과 산업단지 근로자를 포함해서 구내식당에서의 식사를 어떻게 할 것이냐 하는 문제도 있고 그것을 정부가 지원할 것이냐 말 것이냐 하는 문제도 있고 그렇게 되면 민간식당의 소비는 또 어떻게 활성화 할 거냐 하는 문제도 있고 이런 데 정책적 관심을 기울이다 보면 사각지대가 생기기 때문에 사각지대는 어떻게 할 것이냐 이런 다양한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김 후보자는 "당에서 민주연구원장과 정책위의장을 하면서 ‘대학생 천원의 아침밥’과 ‘경로당 주5일 점심’ 두 개를 제가 다 입안해서 제기해본 경험이 있다"며 "‘직장인 든든한 점심’ 까지 연동되는 일종의 3대 세트로 발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냐 그렇게 해서 품격있는 국민의 삶과 식사를 해결하는 그러한 정책을 발전해가면 어떤가 하는 생각을 제가 해봤다"고 했다.
김 후보자는 라면 가격을 예로 들며 "과거처럼 기업의 판매가를 가격규제 형식으로 누를 수 있는 시대는 지나갔다"며 "합리적인 시장가격의 자율성이라는 것을 살려야 하고 서민의 물가를 안정시켜야 한다는 정책적 요구가 존재하며 정부는 그런 일을 할 의무가 있고 어떻게 조화할 거냐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기업과 정부와 국민의 사회적 대화가 필요한 영역"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김 후보자는 배달중개수수료 문제를 들며 "일하다 보면 그런데 이제 보니까 윤석열 정부의 자율규제는 실패했다고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어 "배달중개수수료에 대한 적정선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입법을 포함한 고민을 시작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고 합리성에 대해서 정부도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는 것이 좋고 의회에서 조금 더 적극적이고 선차적인 관심을 기울여주시면 어떨까 하는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총리가 정식으로 되면 총리실부터 시작해서 공직자들부터 매주 최소한 1회 이상 아무리 구내식당이 좋아도 주변 상권에서 점심도 좀 먹고 이런 운동도 좀 하면 어떤가 하는 생각도 든다"며 "구내식당을 활용하기 어려운 곳, 어렵게 소상공인 자영업자로서 식당을 운영하고 계신 모든 분이 윈윈할 수 있는 그런 방법을 찾았으면 좋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