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920선 마감... 7거래일 연속 상승 [포토]

입력 2025-06-12 16: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스피가 7거래일 연속 상승 마감하며 2920선으로 마감한 12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가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2.99(0.45%)포인트 상승한 2920.03을 나타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코스피가 7거래일 연속 상승 마감하며 2920선으로 마감한 12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가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2.99(0.45%)포인트 상승한 2920.03을 나타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코스피가 7거래일 연속 상승 마감하며 2920선으로 마감한 12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2.99(0.45%)포인트 상승한 2920.03을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은 1360원을 하회하며 종가 기준 1357.00원을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 약세는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를 밑돌면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부각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조현호 기자 hyunho@
▲코스피가 7거래일 연속 상승 마감하며 2920선으로 마감한 12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2.99(0.45%)포인트 상승한 2920.03을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은 1360원을 하회하며 종가 기준 1357.00원을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 약세는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를 밑돌면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부각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조현호 기자 hyunho@

▲코스피가 7거래일 연속 상승 마감하며 2920선으로 마감한 12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코스닥,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2.99(0.45%)포인트 상승한 2920.03을 코스닥 지수는 3.16(0.40%)포인트 상승한 789.45를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은 1360원을 하회하며 종가 기준 1358.90원을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 약세는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를 밑돌면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부각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조현호 기자 hyunho@
▲코스피가 7거래일 연속 상승 마감하며 2920선으로 마감한 12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코스닥,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2.99(0.45%)포인트 상승한 2920.03을 코스닥 지수는 3.16(0.40%)포인트 상승한 789.45를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은 1360원을 하회하며 종가 기준 1358.90원을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 약세는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를 밑돌면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부각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조현호 기자 hyunho@

▲코스피가 7거래일 연속 상승 마감하며 2920선으로 마감한 12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가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2.99(0.45%)포인트 상승한 2920.03을 나타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코스피가 7거래일 연속 상승 마감하며 2920선으로 마감한 12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가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2.99(0.45%)포인트 상승한 2920.03을 나타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코스피가 7거래일 연속 상승 마감하며 2920선으로 마감한 12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코스닥,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2.99(0.45%)포인트 상승한 2920.03을 코스닥 지수는 3.16(0.40%)포인트 상승한 789.45를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은 1360원을 하회하며 종가 기준 1357.00원을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 약세는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를 밑돌면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부각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조현호 기자 hyunho@
▲코스피가 7거래일 연속 상승 마감하며 2920선으로 마감한 12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코스닥,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2.99(0.45%)포인트 상승한 2920.03을 코스닥 지수는 3.16(0.40%)포인트 상승한 789.45를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은 1360원을 하회하며 종가 기준 1357.00원을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 약세는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를 밑돌면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부각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조현호 기자 hyunho@

▲코스피가 7거래일 연속 상승 마감하며 2920선으로 마감한 12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2.99(0.45%)포인트 상승한 2920.03을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은 1360원을 하회하며 종가 기준 1357.00원을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 약세는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를 밑돌면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부각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조현호 기자 hyunho@
▲코스피가 7거래일 연속 상승 마감하며 2920선으로 마감한 12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2.99(0.45%)포인트 상승한 2920.03을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은 1360원을 하회하며 종가 기준 1357.00원을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 약세는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를 밑돌면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부각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조현호 기자 hyunho@

코스피가 7거래일 연속 상승 마감하며 2920선으로 마감한 12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코스닥,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2.99(0.45%)포인트 상승한 2920.03을 코스닥 지수는 3.16(0.40%)포인트 상승한 789.45를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은 1360원을 하회하며 종가 기준 1358.90원을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 약세는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를 밑돌면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부각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조현호 기자 hyunho@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해마다 오르는 최저임금...흔들리는 중기·소상공인 생존권
  • 중부 폭우 충청권· 수도권 ‘물폭탄’
  • 해외 자사주 규제 엄격하다지만…재무전략 자산으로 활용
  • ‘삶의 질’ vs ‘생산성’⋯노동계-경영계 극명한 입장 차
  • 스타벅스, 또 프리퀀시 대란⋯불만 속출에도 ‘시스템 탓’
  • '골 때리는 그녀들' 구척장신, 불나비에 3-1 승리⋯4강 직행ㆍ김진경 멀티골
  • 스테이블코인, 규제 변수에도 미국 국채 수요처로 주목…국내 활용 논의도 본격화
  • 트럼프 “파월 해임 계획 없어”…뉴욕증시 나스닥 또 최고치
  • 오늘의 상승종목

  • 07.1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1,329,000
    • +0.33%
    • 이더리움
    • 4,568,000
    • +6.78%
    • 비트코인 캐시
    • 678,000
    • -0.29%
    • 리플
    • 4,127
    • +3.46%
    • 솔라나
    • 236,000
    • +5.31%
    • 에이다
    • 1,038
    • +1.67%
    • 트론
    • 420
    • +2.19%
    • 스텔라루멘
    • 619
    • +0.1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040
    • +8.51%
    • 체인링크
    • 22,650
    • +3.24%
    • 샌드박스
    • 429
    • -0.6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