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MC, 日 자동차 기업들과 협력 강화…사업 영역 확대 가속화 [ET의 칩스토리]

입력 2025-06-12 14:3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日 요코하마서 '테크놀로지 심포지엄' 개최
최초 자동차 패널 세션 진행⋯도요타 등 참석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 속 반도체의 가치는 ‘핵무기’와 동급으로 불립니다. 국가 안보 핵심 자산이자 국력과 직결된 전략 산업이죠. 첨단 반도체 기술의 지배력은 글로벌 기술 패권과 군사 안보의 핵심으로 통합니다. 미국과 중국이 자국의 반도체 산업을 전폭적으로 지원하는 배경으로도 꼽히죠. 이렇듯 중요한 반도체는 명실상부한 한국 대표 수출 산업입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글로벌 간판 반도체 기업으로 기술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 막대한 투자를 쏟아붓고 있습니다. 본지는 ‘ET의 칩스토리’ 코너를 통해 반도체 기술 트렌드와 업계 동향을 심층 분석하고, 시장의 흐름을 조명할 예정입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반도체 시장의 핵심 이슈를 짚어보며, 독자 여러분께 유익한 인사이트를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일본 요코하마에서 열린 'TSMC 2025 테크놀로지 심포지엄' 현장  (자료출처=TSMC)
▲일본 요코하마에서 열린 'TSMC 2025 테크놀로지 심포지엄' 현장 (자료출처=TSMC)

세계 1위 파운드리 업체인 대만의 TSMC가 일본 자동차 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인공지능(AI)·자율주행 확산으로 차량용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일본 완성차 업계와 손잡고 차세대 시장 선점에 나선 전략적 행보로 풀이된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TSMC는 전날 일본 요코하마에서 ‘TSMC 2025 테크놀로지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미국(4월), 대만(5월), 유럽(5월), 중국(6월)과 함께 전 세계 5대 권역에서 순차적으로 열리는 기술 행사로 TSMC의 기술 로드맵과 생태계 전략이 공개되는 자리다.

올해 일본 행사에는 도요타, 혼다, 덴소, 파나소닉 오토모티브, 르네사스 등 일본 주요 자동차 기업들과 함께 최초로 ‘오토모티브 패널 세션’이 구성됐다. AI 기술 도입과 전동화 전환 속에서 반도체 기술의 역할과 요구 사항이 공유됐다는 점에서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케빈 장 TSMC 수석부사장은 “차세대 1.41㎚(나노미터·1㎚=10억분의 1m) 공정(A14)과 유연한 트랜지스터 배치를 가능케 하는 ‘나노플렉스 프로(NanoFlex Pro)’ 기술이 자율주행 등 자동차 분야에서 빠르게 도입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차량용 반도체가 단순 MCU 수준을 넘어 고성능 연산 및 AI 통합 기능을 요구하는 구조로 바뀌고 있음을 방증한다.

TSMC의 행보는 AI 시대를 겨냥한 공급망 재편과도 맞물린다. 일본은 전통적으로 자동차 강국일 뿐 아니라, 센서·로봇·기계 시스템 등 물리 AI 분야에서 글로벌 기술 우위를 가진 국가다. 포커스2무브에 따르면 도요타는 올해 1~4월 글로벌 자동차 시장 점유율 12.5%로 1위를 기록했다. 혼다, 스즈키 등도 상위권에 포진해 있다.

TSMC는 이러한 일본의 산업적 강점을 활용하기 위해 현지 투자도 확대 중이다. 구마모토현에 설립된 TSMC 일본법인 JASM 제1공장은 지난해 말부터 12·16·22·28나노 범용 로직 칩 양산을 시작했으며, 올해 중순 제2공장도 착공한다. 제2공장에선 6㎚ 및 40㎚급 고급 공정을 적용할 예정으로, 향후 차량용 AI 칩 수요를 염두에 둔 행보로 해석된다.

고용 확대도 공격적이다. 올해 JASM의 신입 채용 인원은 527명으로, 전년(256명) 대비 두 배 넘게 증가했다.

업계에서는 TSMC의 이번 행보가 단순한 고객사 확장을 넘어 ‘AI·자율주행 시대의 시스템 반도체 패권’을 위한 공급망 재편 시도로 보고 있다. 전통적으로 고성능 AI 칩은 서버·데이터센터 중심이었지만, 최근엔 스마트카와 온디바이스 AI 등 경량화된 연산 수요가 폭증하면서 파운드리 기술의 적용 범위도 넓어지고 있다.

TSMC의 시장 점유율 역시 초격차를 유지 중이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1분기 TSMC의 글로벌 파운드리 점유율은 67.6%로, 전분기(67.1%)보다 0.5%포인트 증가했다. 삼성전자(7.7%)와의 격차는 60%포인트에 육박했다.

오노데라 마코노 TSMC 재팬 사장은 “일본이 가진 자동차·센서·로보틱스 경쟁력과 TSMC의 공정 기술을 결합해 AI 시대의 미래를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맥도날드서 ‘고치돈’ 맛이?⋯익숙하면서 새로운 ‘익산 고구마 모짜렐라 버거’ [맛보니]
  • 역대급 폭염에 물가 덩달아 고공행진...올 여름 '히트플레이션' 이어지나
  • KBO 올스타전서 나눔 4연승…'미스터 올스타' 주인공은 LG 박동원
  • 삼성전자, 문화공간 '갤럭시Z폴드7∙플립7 스튜디오' 더현대 서울에 오픈
  • 사사건건 ‘법적 수단’ 동원 尹, 이번에는 구속적부심 카드 꺼낼까
  • 정부, 자율주행차 안전성 검사 내년부터 본격 실증
  • '살림남2' 박서진, 처량했던 무명시절⋯"의상 들고 버스타, 대기실은 화장실"
  • '전참시' 조유리, '오징어게임' 오디션 4차까지⋯"간절함에 혼자 머리도 잘라"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