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동행위원회, ‘안전문화 확산·소통 강화’ 등 건설산업 이미지 개선 로드맵 발표

입력 2025-06-12 1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건설산업 이미지 개선 로드맵 비전·목표 및 10대 과제.  (자료제공=국토교통부)
▲건설산업 이미지 개선 로드맵 비전·목표 및 10대 과제. (자료제공=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와 대한건설단체총연합회는 2025년 건설동행위원회 제1차 회의를 개최하고 건설산업 이미지 개선을 위한 로드맵을 마련했다고 12일 밝혔다.

건설동행위원회는 그간 반복적으로 발생한 부실시공, 안전사고, 부정부패 및 열악한 건설현장 등 건설산업의 부정적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 지난해 11월 건설 분야 협회·학회·전문가들의 참여를 통해 출범한 민간 주도 협의체다. 정충기 서울대 교수(전 대한토목학회장)와 이진숙 충남대 교수(전 충남대 총장)를 공동 위원장으로 하고, 11개 기관의 장(국토부는 1차관) 및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된다.

이번에 발표한 로드맵은 동행위원회의 슬로건인 ‘신뢰를 짓는 건설산업, 미래를 잇는 가치성장’을 비전으로, 3대 목표와 10대 과제를 마련했다. 3대 목표는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안전문화 확산 △청년과 소통하는 스마트한 미래산업으로 성장 △산학연관 협력으로 신뢰받는 일터 조성 등이다.

먼저 민간 주도 안전문화 확산은 민간 건설회사 CEO가 직접 현장을 방문해 안전관리 현황을 점검하는 등 자기 규율을 강화하고, 건설동행위원회를 중심으로 건설현장 사망사고 예방 공모전과 추락예방·안전모착용 캠페인을 추진한다.

또 지반과 구조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재능기부형 자문단인 ‘건설 주치의’를 구성하고, 건설현장의 휴게·편의시설 설치기준을 보완 등의 개선으로 진행된다.

스마트 미래산업 성장을 위한 건설업 인식 개선도 추진한다. 건설소통을 위한 콘텐츠를 제작하고 국민 공감형 플랫폼 구축도 진행된다.

스마트건설 엑스포와 연계한 미래 건설인의 밤 개최 등 건설 위크(건설 주간)를 선포하고, 대학생·취업 준비생 등 청년이 참여하는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는 등 국민이 참여할 수 있는 나이·계층별 맞춤형 건설소통 콘텐츠를 지속 확대한다.

끝으로 건설산업의 윤리문화 정착과 지속가능한 사회공헌을 강화한다. 부정적인 건설업 이슈들로 인한 대국민 신뢰도 개선을 위해 단순 기부를 넘어서는 윤리문화 정착과 지속가능한 사회공헌 협력체계를 수립을 목표로 한다.

이런 로드맵 중 단기 과제는 즉시 추진하여 연내 완료하고, 중장기 과제는 향후 분과 활동 등을 통해 과제별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2027년 이내에 마무리할 계획이다.

정충기 공동위원장은 “이번 로드맵 발표는 건설 문화의 긍정적 변화와 이미지 개선을 위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최대 40만 원 인상’ 국가장학금…올해 2학기부터 얼마나 늘까? [경제한줌]
  • 여름 제철 ‘냉면 값’, 전국 광역지자체 대부분 1만원 웃돌아 [물가 돋보기]
  • 충청 이어 남부도 ‘물폭탄’ 예고…폭우 뒤엔 폭염 다시 찾아온다
  • 강선우·이진숙 ‘버티기’ 돌입...주말이 고비
  • 檢, 공소사실 추가했지만…대법 "이재용 혐의 전부 무죄"
  • 스타벅스, 또 프리퀀시 대란⋯불만 속출에도 ‘시스템 탓’
  • "통장 3개 중 1개 서울로"… 청약시장 수도권 쏠림 뚜렷
  • 엔비디아 훈풍에 잘나가던 반도체株…하이닉스 급락에 제동 걸리나
  • 오늘의 상승종목

  • 07.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2,990,000
    • +0.45%
    • 이더리움
    • 4,688,000
    • +2.85%
    • 비트코인 캐시
    • 677,000
    • -0.44%
    • 리플
    • 4,583
    • +10.43%
    • 솔라나
    • 238,400
    • +1.1%
    • 에이다
    • 1,105
    • +6.56%
    • 트론
    • 432
    • +4.35%
    • 스텔라루멘
    • 649
    • +2.37%
    • 비트코인에스브이
    • 39,140
    • -2.39%
    • 체인링크
    • 23,490
    • +2.4%
    • 샌드박스
    • 434
    • +0.2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