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총리 후보자, 13일 식품·외식업계와 ‘물가 대책’ 간담회

입력 2025-06-12 08:4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10일 서울 종로구 금융감독원 연수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약식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조현호 기자 hyunho@)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10일 서울 종로구 금융감독원 연수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약식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조현호 기자 hyunho@)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식품·외식업 협회와 전문가 등을 만나 고물가 상황에 관한 의견을 청취하고 대응책을 살피기 위해 업계와 첫 만남에 나선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이 9일 비상경제점검 태스크포스(TF) 회의에서 “라면 한 개에 진짜 2000원이냐?”면서 물가 대책을 주문한 뒤 김 총리 후보자가 물가 동향을 직접 점검하고 의견 수렴에 나서는 것이다.

12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식품·외식 물가 간담회가 13일 서울 모처에서 비공개로 개최된다. 한국식품산업협회, 한국외식산업협회,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와 소비자단체, 전문가, 농림축산식품부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개별 기업은 참석하지 않는다.

국무총리 후보자가 물가 관련 간담회를 여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그만큼 새 정부가 물가 안정을 중요 국정 과제로 삼고 있다는 밪응인 셈이다.

앞서 김 총리 후보자는 10일 기자간담회에서 “최근 이재명 대통령이 물가 문제와 라면 값을 제기한 건 우발적인 게 아니다”라며 “매일매일 부딪히는 음식 물가는 (국민들께)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강조했다.

이어 “물가 대책 간담회를 열어 토론할 수 있게 해달라고 총리실에 요청했다”면서 “후보자로서 할 수 있는 일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간담회에 참석하는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고환율과 원재룟값의 폭등으로 인해 식품업계의 부담이 커져 불가피하게 가격 인상을 단행했는데, 여러 오해가 있는 것 같아 일련의 상황을 자세히 설명할 계획”이라며 “새 정부의 물가 안정 대책에도 적극적으로 협력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최근 한국경제인협회 조사에서는 국민 10명 중 6명은 물가 안정을 최우선 민생 과제로 지목했다. 물가 안정을 위해 정부가 추진할 정책으로는 ‘농축산물·생필품 가격 안정(35.9%)’이 가장 많이 꼽혔다. 지난달 외식 물가도 1년 전보다 3.2% 상승했다.

이런 가운데 식품·외식기업 60여 곳이 최근 6개월간 제품 가격을 올렸다. 12.3 계엄 이후 정국 혼란기를 틈타 잇달아 가격 인상을 단행, 물가 상승을 초래한 것 아니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손풍기 말고 이것"…'40도 폭염'에 주목받는 '생존 매뉴얼' [이슈크래커]
  • 초고령사회 한국, 미래 준비할 때 [초고령 대응, 선험국에서 배운다]
  • 광주 제석산 구름다리서 또 '추락사'...안전대책 절실
  • 지카·니파·엠폭스·뎅기열·에이즈·아메바…동남아 여행 공포심 불러온 바이러스 [해시태그]
  • 美 수출액만 26조원인데...직격탄 맞을까 불안한 中企
  • "25% 관세 현실화하면 성장률 반토막"...막판 협상에 달린 韓경제
  • 체감온도 35도↑…계속되는 폭염에 인명 피해도 급증
  • [송석주의 컷] 여름의 냉기가 피어오르는 이상한 영화
  • 오늘의 상승종목

  • 07.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9,027,000
    • +0.32%
    • 이더리움
    • 3,697,000
    • +3.73%
    • 비트코인 캐시
    • 689,000
    • +1.03%
    • 리플
    • 3,254
    • +3.17%
    • 솔라나
    • 210,500
    • +1.49%
    • 에이다
    • 833
    • +3.74%
    • 트론
    • 394
    • +1.03%
    • 스텔라루멘
    • 396
    • +12.82%
    • 비트코인에스브이
    • 34,110
    • +1.31%
    • 체인링크
    • 19,150
    • +1.86%
    • 샌드박스
    • 356
    • +4.7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