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어라인소프트, 프랑스 국가조달기관 등록⋯직공급 기반 확보

입력 2025-05-16 13: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어라인소프트는 프랑스 국가 공공조달기관 ‘UGAP’에 자체 인공지능(AI) 제품이 등록되면서 유럽 시장 내 AI 제품 직공급 기반을 확보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를 통해 프랑스 내 모든 공공 병원 및 보건기관에 별도 입찰 절차 없이 제품을 직접 공급할 수 있게 됐다.

UGAP는 프랑스 정부 산하 공공조달기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제품과 서비스를 구매해 공공기관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프랑스는 공공 병원이 전체의 60% 이상일 정도로 비중이 높지만, 공공조달 등록 없이는 대부분의 병원 입찰 참여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까다로운 제품 성능 요건뿐 아니라 현지 의료진의 검증까지 요구하고 있어 비유럽연합(EU) 기업의 공공조달 등록 사례는 거의 없다고 알려졌다.

코어라인소프트는 이번 공공조달 등록을 기점으로 의료 AI 도입을 확대하고 있는 프랑스를 위시한 유럽 시장 진출을 강화할 방침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그랜드뷰리서치’에 따르면 프랑스 의료 AI 시장은 정부 주도 의료 AI 분야 대규모 투자를 기반으로 오는 2030년까지 연평균 39%씩 성장해 약 70억7790만 달러(약 10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코어라인소프트 관계자는 “세계 각국 정부의 폐암검진 프로젝트 및 글로벌 기업들로부터 AI 제품의 기술력을 입증하면서 프랑스 정부로부터 기술력을 검증받아 공공조달 등록에 성공했다”며 “이번 UGAP 등록은 단순 유통망 추가가 아닌 프랑스 내 AI 진단 솔루션 도입의 급격한 확산 및 추가 유럽 수주 가능성이 극대화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UGAP 외 추가 프랑스 공공조달기관 등록 절차도 병행 중으로, UGAP 등록을 통해 프랑스 현지 전문의로부터 검증받았기 때문에 신속한 추가 등록이 가능할 것”이라며 “최근 글로벌 네트워크를 보유 중인 기업과의 신규 계약도 이어지고 있으므로 유럽 시장과 함께 미국 등 추가 글로벌 시장 공략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코어라인소프트는 최근 탑티어 제약사인 독일 바이엘뿐 아니라 프랑스 의료 AI 기업 인셉토 메디컬과 제품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바이엘은 자체 플랫폼에 구글 클라우드를 연동해 미국, 유럽 진출을 확대 중이며, 인셉토 메디컬도 다수의 글로벌 AI 기업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스코이앤씨, 용산정비창 빠른 사업·대형 평형 극대화 '철의 약속'
  • '소집 해제' 슈가, 직접 인사 전했다…"음주운전, 멤버들에게도 미안" [전문]
  • 트럼프 “대이란 공격 결정 2주가 최대...이란에 정신 차릴 시간 주고 있다”
  • [시승기] ‘조용하고 강한 SUV’…신형 넥쏘, 주행감에 놀라고 효율에 두 번 놀라
  • "새 아파트 살래요"...5년 이하 신축에 쏠리는 수요자들
  • 장마와 함께 돌아온 원조 '좀비물'⋯근원적 공포 표현한 '28년 후' [시네마천국]
  • "고창서 장어·복분자 맛보세요"…'라벤더·해바라기' 꽃놀이도 [주말N축제]
  • 시즌 중간 결산 대회…‘2025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우승 후보는? [딥인더게임]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093,000
    • -0.66%
    • 이더리움
    • 3,336,000
    • -0.89%
    • 비트코인 캐시
    • 655,500
    • -2.02%
    • 리플
    • 2,899
    • -2.03%
    • 솔라나
    • 192,300
    • -0.98%
    • 에이다
    • 790
    • -1.86%
    • 트론
    • 384
    • +0.79%
    • 스텔라루멘
    • 333
    • -1.4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960
    • -3.16%
    • 체인링크
    • 17,070
    • -2.51%
    • 샌드박스
    • 335
    • -3.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