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달 건설경기실사 종합실적지수(CBSI)는 66.9로 전월 대비 4.0포인트(p) 하락했다. CBSI가 기준선인 100을 밑돌면 현재의 건설 경기 상황을 비관적으로 보는 기업이 낙관적으로 보는 기업보다 많다는 의미다. 100을 넘으면 그 반대를 뜻한다.
대기업(78.6)과 중견기업(66.7)은 전월(84.6, 71.9) 대비 큰 폭으로 하락했으나 중소기업(56.1→55.6)은 상대적으로 작은 낙폭을 보이며 대기업, 중견기업과의 격차를 줄였다. 지역별로는 서울 70.7, 지방 64.7을 기록했다. 서울은 올 5월 지수 개편 이래 최저 수준을 기록했고 지방 지수는 전월보다 3.3포인트 내렸다.
세부 실적지수 중에선 공사대수금지수(78.3)가 전월 대비 가장 많이(-7.0포인트) 떨어졌고, 그다음으로는 자금조달지수(70.6)가 6.4포인트 하락하며 올해 들어 가장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신규수주지수, 공사기성지수, 자재수급지수는 각각 전월 대비 0.9포인트, 2.8포인트, 0.4포인트 하락한 63.8, 77.3, 88.6으로 집계됐다. 수주잔고지수(79.0)만 전월 대비 상승(5.6포인트)했다.
토목지수(67.9)와 주택지수(66.8)는 전월(66.9, 66.1) 대비 다소 개선됐다. 비주택건축지수(54.6)는 10월보다 7.0포인트 떨어지며 최근 1년 내 최저치를 썼다.
이달 건설경기실사 종합전망지수는 77.4로 지난달(66.9)과 비교할 때 10.5포인트 높다. 그러나 여전히 기준선보다는 낮다. 건설 경기가 악화할 것으로 생각하는 이들이 더 많다는 의미다.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전망지수 모두 11월 실적지수보다 나아질 것으로 보인다. 대기업과 중견기업 전망지수는 각각 85.7, 75.9로 11월 대비 7.1포인트와 9.2포인트 오를 전망이다. 중소기업 전망지수(70.7)는 15.1포인트 높아질 것이란 예측이 나온다.
공종별로 전월 대비 개선 폭이 가장 클 것으로 보이는 지수는 신규수주지수다. 전망치는 75.1로 11월보다 11.3포인트 높다. 공사기성과 수주잔고 지수는 11월 대비 7.4포인트와 7.0포인트씩 오른 84.7, 86.0에 머무를 전망이다. △공사대수금 지수 84.7(6.4포인트 상승) △자금조달 지수 77.9(7.3포인트 상승) △자재수급지수 92.0(3.4포인트 상승) 등으로 예상된다.
신규수주지수는 토목보다 주택과 비주택건축 부문에서 더 많이 오를 것으로 보인다. 토목, 주택, 비주택건축 전망지수는 11월 실적지수보다 각각 5.8포인트와 19.4포인트, 13.7포인 높은 73.7, 86.2, 68.3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지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11월 CBSI 검토 결과 건설기업들의 체감 건설 경기가 하락해 체감경기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