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국고채 발행실적 97조, 연 발행계획대비 91%선 될 듯

입력 2018-11-23 08:44 수정 2018-11-23 08:4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세수호조에 지난해이어 2년째 축소발행..50년물 분기별 발행..10년물 비중 축소

올해 국고채 발행실적은 97조원 수준에 그칠 전망이다. 이같은 전망이 현실화할 경우 연간 국고채 발행계획물량 106조6000억원 대비 91%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세수호조가 이어진 때문이다. 지난해에 이어 2년연속 축소발행이 이어지는 셈이다.

(기획재정부, 이투데이 정리)
(기획재정부, 이투데이 정리)
23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12월 국고채 경쟁입찰 물량을 3조원으로 발표했다. 이는 다음달 4일 물량이 확정되는 50년물을 제외한 것이다. 국고채 매입(바이백)도 4조원을 실시한다.

이같은 계획물량이 전액 발행으로 이어지고 50년물 발행이 직전 입찰이 있었던 9월 6조원 수준에서 결정된다면 올 국고채 발행 총 물량은 96조9330억원 수준을 기록할 전망이다. 이는 당초 국고채 발행계획물량 대비 91.1%에 그치는 수준이다.

이는 세수호조에 따라 굳이 적자국채를 발행할 필요가 적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 올 들어 9월까지 국세수입은 233조7000억원으로 전년동기보다 26조6000억원이나 더 걷혔다. 지난해에도 총세입 359조5000억원 총세출 342조9000억원으로 결산상 잉여금을 16조2000억원이나 남기는 흑자재정을 달성하면서 국고채 발행물량이 당초 계획대비 97.2% 수준에 그친바 있다. 이와 관련해 이상규 기재부 국채과장은 “세수를 감안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10년물 비중 줄어…3·5년 40.5%, 10년 24.3%, 20년 이상 35.2% = 종목별 발행 비중은 10년물이 축소된 반면 단기물과 초장기물 비중은 다소 늘었다. 종목별 발행물량과 비중을 보면 3년물은 19조5050억원에 20.1%, 5년물은 19조7500억원에 20.4%, 10년물은 21조4860억원에 24.3%, 20년물은 9조7510억원에 10.1%, 30년물은 21조2110억원에 22.9%, 50년물은 2조1250억원에 2.2%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연간계획인 3~5년물 35~45%, 10년물 20~30%, 20~30년물 30~40% 및 50년물 1조 내외와 비교하면 3~5년물은 40.5%, 20년물 이상 초장기물은 35.2%로 연간계획비중 중간값을 상회한다. 반면 10년물은 다소 밑도는 수준이다.

한편 지난해 3월 첫선을 보였던 50년물은 올 들어 매분기 수요조사후 발행이 이뤄지는 것으로 정착됐다. 발행물량도 3월 3250억원에서 6월 5400억원, 9월 6600억원으로 인기를 구가했다. 기재부는 50년물 발행 정례화 여부 고심중에 있는 중이다.

(기획재정부, 이투데이 정리)
(기획재정부, 이투데이 정리)
◇비경쟁인수 비율 20% 육박, 스트립채도 5조원 근접, 물가채만 9400억 그쳐 = 비경쟁인수와 원금과 이자를 분리한 채권인 스트립채도 인기를 끈 것으로 보인다. 비경쟁인수 물량은 14조3970억원으로 경쟁입찰물량 대비 비중은 19.97%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대비 물량기준(15조1010억원)으로는 줄어든 것이나 비중기준(19.77%)으로는 상승한 것이다. 종목별로는 20년물이 26.69%를 기록해 가장 인기가 높았다. 반면 30년물은 14.5%에 그쳐 가장 비율이 낮았다.

스트립채도 총 4조9840억원어치가 발행됐다. 이는 전년 발행액 4조8080억원보다 늘어난 것이다. 종목별로는 5년물이 1조1700억원어치로 가장 많았고, 3년물은 8300억원어치로 상대적으로 저조했다.

한편 물가채 발행은 9400억원어치에 그쳤다. 이는 전년 1조9920억2000만원어치 대비 1조원 이상 감소한 것이다. 8월에 이어 10월과 11월 연달아 발행이 전혀없는 부진을 기록했다. 기재부는 급기야 12월 바이백에서 경과물 유동성 제고를 위해 매입대상 국고채 종목에 물가채 15-5종목과 16-5종목을 포함시키는 조치를 단행했다. 이는 2016년 8월 바이백에서 물가채 10-4종목을 포함시킨 후 처음이다. 당시 입찰에서는 응찰액 70억원이 있었지만 낙찰액은 없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여의도4PM' 구독하고 스타벅스 커피 받자!…유튜브 구독 이벤트
  • 드디어 ‘8만전자’...“전 아직 96층에 있어요” [이슈크래커]
  • 주중 재벌, 주말 재벌, OTT 재벌…‘드라마 재벌家’, 이재용도 놀랐다 [요즘, 이거]
  • 서울 시내버스 ‘극적 타결’…퇴근길 정상 운행
  • ‘경영권 분쟁’ 한미사이언스 주총 표 대결, 임종윤·종훈 완승
  • 벚꽃 없는 벚꽃 축제…“꽃놀이가 중요한 게 아닙니다” [이슈크래커]
  • 비트코인, ‘매크로 이슈’로 하락…“5월 중 이더리움 ETF 승인 가능성↓” [Bit코인]
  • “청와대 옮기고, 해리포터 스튜디오 유치”…4·10 총선 ‘황당’ 공약들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3.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00,483,000
    • +0.4%
    • 이더리움
    • 5,085,000
    • -0.35%
    • 비트코인 캐시
    • 814,000
    • +15.05%
    • 리플
    • 884
    • -0.23%
    • 솔라나
    • 261,800
    • -1.76%
    • 에이다
    • 921
    • -1.07%
    • 이오스
    • 1,504
    • -1.12%
    • 트론
    • 171
    • -0.58%
    • 스텔라루멘
    • 196
    • +1.55%
    • 비트코인에스브이
    • 131,500
    • +4.61%
    • 체인링크
    • 27,570
    • -1.85%
    • 샌드박스
    • 978
    • -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