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 저신용자 대출 2배 증가…리스크 관리 부담되나

입력 2017-08-18 10:00 수정 2017-08-18 10:2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은행 시장에 돌풍을 일으킨 카카오뱅크의 저신용자 대출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신용자에 대한 신용정보 구축이 미진한 상황에서 마구잡이식으로 위험 대출을 늘려 리스크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카카오뱅크로부터 받은 ‘신용등급별 대출 현황’에 따르면 출범 당일인 지난달 27일 전체의 34%를 차지했던 고신용자(1~2등급) 대출건수는 일주일 후인 이달 3일 기준 19%로 절반 가까이 줄었다.

반면 저신용자인 7등급 이하 대출 건수는 4%에서 7%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중신용자(5~6등급) 대상 대출 건수도 같은 기간 36%에서 47%로 증가했다.

대출잔액 기준으로도 우량 등급에 대한 비중은 줄고, 상대적으로 위험 고객군인 중저신용자는 크게 늘었다.

1~2등급 대상 대출액은 출범 당일 전체 여신액의 70%를 차지했지만 일주일새 54%로 뚝 떨어졌다. 그러나 5~6등급 대출액은 같은 기간 7%에서 15%로 훌쩍 뛰었다. 7등급 이하 저신용자 대출액도 1%에서 2%로 두 배 늘었다.

문제는 카카오뱅크가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에서 몰리는 중저신용자들 가운데 우량 고객을 선별할 정도로 신용평가시스템(CSS)이 고도화돼 있지 않다는 점이다. 더욱이 중저신용자들 대상 상품인 비상금대출(1~8등급)의 금리 수준은 최저 연 3.45%로, 고객 위험도 대비 매우 낮은 수준이다.

이대기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금리절벽 해소라는 점에서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이 증가하는 것을 좋게 볼 수도 있지만, 신용 데이터가 충분히 쌓이지 않은 상황에서 중저신용자 대출이 증가하는 것은 분명 문제가 있다”며 “위험 고객군을 배제하는 데 있어 리스크 관리에 구멍이 나면 인터넷은행 비즈니스 모델이 무너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카카오뱅크는 출범 23일째인 현재까지 대출시스템이 원활하지 못한 상황이다. 대출신청을 위한 첫 단계인 한도조회를 하면 바로 ‘대출신청자가 너무 많다’는 알림 문구가 뜬다.

대출한도와 금리 관련 고객센터 상담도 불가능한 상황이다. 카카오뱅크 측은 이달 초 상담 인력 90명을 추가 투입했다고 밝혔지만 이용자들의 불편은 계속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대출시스템 먹통 현상이 신속히 개선되지 않으면 대규모 고객 이탈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여의도4PM' 구독하고 스타벅스 커피 받자!…유튜브 구독 이벤트
  • ‘줄리아나’를 아시나요?…‘164억’ 짜리 초고가 아파트의 과거 [이슈크래커]
  • 2024 전국 벚꽃 축제 총정리…봄나들이 떠날 준비 완료 [인포그래픽]
  • 돌아온 정치테마주, 당국 경고에도 ‘들썩’
  • 정부 "때마다 의료정책 백지화 요구하며 집단행동, 악습 끊어야"
  • ‘ETF 매도세’에 비트코인 일시 주춤…“솔라나는 여전히 견조” [Bit코인]
  • 4대 금융지주 직원 평균 연봉 1억7000만 원…KB, 2억 돌파 목전
  • "금리 언제 내려"…방황하는 뭉칫돈 파킹형 ETF로
  • 오늘의 상승종목

  • 03.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900,000
    • -3.85%
    • 이더리움
    • 4,935,000
    • -6.05%
    • 비트코인 캐시
    • 550,000
    • -7.49%
    • 리플
    • 876
    • -2.45%
    • 솔라나
    • 272,600
    • -7.28%
    • 에이다
    • 913
    • -8.06%
    • 이오스
    • 1,355
    • -8.82%
    • 트론
    • 178
    • -3.26%
    • 스텔라루멘
    • 183
    • -4.19%
    • 비트코인에스브이
    • 110,800
    • -9.25%
    • 체인링크
    • 25,360
    • -10.04%
    • 샌드박스
    • 843
    • -9.45%
* 24시간 변동률 기준